Hwaiting이라... 낯설지만 왠지 친근하게 보이기도 하는 그런 단어 아닌가? 우연히 youtube에 달린 글 속에서 발견했다. 한국사람들이 영어로 쓴 것처럼 보이는 그런 글에서... 그렇다. '화이팅'이 한국어 단어로 거급 나서, 더 이상 어원 'fighting'으로 환원할 수 없는 독특한 의미를 만들어 낸 것이다. '어린쥐'(organge)족들은 분명 아랫 입술을 윗 앞니 뒤에 살짝 가져다 붙이면서 발음해야 해야 '본토인'들이 이해할 수 있지 않겠느냐고, 어디 신성불가침 영어 단어에 그런 만행을 저지를 수 있느냐고 항변하겠지만, 자랑스런 대한 젊은이들은 이미 그런 강박에서 벗어난 듯 하다. 'Hwaiting'에 대해서 구글해 보니 적지 않은 수의 검색 결과가 나온다. Hwaiting의 어원에 대한 갑론을박까지.... (여기).
ps) 위에서 연결시켜 놓은 블로그에서도 발견되지만 'Hwaiting'의 경쟁상대가 원칙적으론 있다: 'Paiting' (화이팅 -> Hwaiting, 파이팅 -> Paiting). 하지만 '파이팅'의 영어화된 결과로서 'Paiting'이란 표현은 거의 쓰이고 있지 않은 것 같다. '파이팅/화이팅'의 경쟁에서 '파이팅'이 서서히 탈락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현상이 아닐런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