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3월 28일 월요일

아래 얘기는 지당한 발언으로 들릴 수도 있겠지만 그 내용을 구체적 상황에 적용할 생각을 해보면 생각처럼 그리 단순한 아이디어가 아님을 알 수 있다. '동적 균형'이란 얘기는 매우 상대적, 구성주의적 발언이다. 균형을 잡아 줄 중심의 존재을 상정하지 않는 거니까. 한 마디로 그 때 그 때 다르다. '나는 가수다'의 경우를 생각해 보자. '나는 가수다'에서 재도전 허용이 비난받았던 까닭을 원칙을 지키지 않았다는 점에서 찾을 것인가? 적어도 겉으로 드러난 이유는 그렇다. 하지만 한국 시청자들, 네티즌들 - 그게 누구건 간에... - 이 언제부터 그렇게 '원칙'을 깐깐하게 지킬 것을 요구했나? "원칙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상황에 따라 바뀔 수도 있다" 이런 선택상황이 무수하게 많을 텐데 우리는 실제로 매번 다른 방식으로 원칙을 적용한다. 동일한 시청자, 네티즌은 유권자이기도 할텐데 그들이 원칙을 깨는 정도가 아니라 뻔히 드러날 거짓말을 하고 신뢰할 수 없는 사람인데도 표를 줘서 당선시키기도 하지 않은가. 세상에 반드시 지켜야 할 원칙이란 없다. '나는 가수다' 사태에 대해서 우리는 왜 그 프로그램에 대해서 유독 '원칙'을 강조했는 지를 물어야 할지 일반적인 경향을 드러내는 사건으로 확대 해석해서는 안될 것이다 (저 아래 글에선 나도 그랬던 것 같지만).
'절대적인 원칙이란 없다'는 발언에 대해서 거부감을 느낄 수 있다. 절대적으로 지켜져야 할 원칙이라고 쉽게 떠올릴 수 있는 사례를 하나만 들어보자. '살인 금지' 어떤가? 어떠한 경우에도 사람을 죽여서는 안된다! 자명해 보이는 이런 원칙도 일탈행위에 의해서가 아니라 정당하고 합법적인 방식에 의해서 깨지고 있다. 대표저긴 방식으로 전쟁, 사형, 정당방위...

내겐 어떤 '원칙'이든 '원칙적으로(ㅋ) 상대적'이라는 점을 심각하게 고려할 특별한 필요가 있다. 귀국 이후 접하게 되는 여러 낯선 상황에 대해서 그동안 짜증, 분노를 내는 경우가 많았는데, 따져보니 그 밑바닥엔 내 판단기준이 더 우월하다는 믿음이 있었던 것 같다. 하지만 내 기준의 우월함을 믿고서 도덕적 판단을 내리기 전에 한국 상황이나 타인이 전제로 하고 있는 원칙을 우선 '이해'하려고 애써야 할 것 같다. 사실 그게 더 사회학적 접근이기도 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