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7월 1일 수요일

Cicero-Ranking 2007

Ciceroa라는 잡지가 독일 '지식인들'의 영향력 순위를 매년 매기는 모양이다 (Die Liste der 500 führenden deutschsprachigen Intellektuellen). 2007년도 결과를 우연히 접하게 되어서 기록으로 남긴다 (결과 보기). '정치문화를 위한 잡지'라는 부제를 달고 있는 'Cicero'가 얼마나 신뢰할만한지 잘 모르겠지만, 대략 조사 방법 등을 읽어보니 아주 허접하진 않은 것 같다. 이 결과를 내기 위해서 160개에 달하는 독일어권 신문과 잡지에서 그 인물이 얼마나 자주 다뤄지는 지를 조사했다고 한다. 인터넷 인용도도 조사했다고 하는데, 구체적 방법은 잘 이해되지 않는다. 'Intellektuelle'(지식인?)이란 카데고리 자체가 매우 모호하기 그지 없다는 것이 그 리스트에 오른 인사를 면면을 살펴 보면 분명해진다. 비슷한 '짓'을 Frankfurter Allgemeine Sonntagszeitung 도 해서 지난 2007.1.27 신문에 발표한 모양이다. 이 경우는 100명을 선정했다. 주로 google 등 인터넷 검색 결과 수로 매긴 모양인데, Dirk Baecker가 80위에 올랐다고 '자랑스럽게' 기록해 두어서 알게 되었다 (여기). Cicero-Ranking 2007에선 478위를 기록했다.
Cicero 2007년도 리스트에서 10위까지만 기록해 둔다 (2008년도 리스트는 온라인에서 찾을 수 없었다. 그리고 순위 옆은 전년도와 비교한 등락폭).

1. + 13 Joseph Ratzinger,Papst Benedikt XVI.
2. + 2 Martin Walser, Schriftsteller
3. - 2 Günter Grass, Schriftsteller
4. - 2 Harald Schmidt, Satiriker
5. - 2 Marcel Reich-Ranicki, Literaturkritiker
6. - 1 Peter Handke, Schriftsteller
7. + 1 Elfriede Jelinek, Schriftstellerin
8. + 4 Elke Heidenreich, Publizistin
9. ± 0 Alice Schwarzer, Journalistin
10. - 4 Jürgen Habermas, Philosoph

Harald Schmidt 같은 예능인이 4위에 등극해 있는 것만 봐도 벌써 신뢰도가... 학계 인사들 순위를 따로 뽑던 지. '사회학자'(Soziologe, Soziologin)란 '직업명'을 가지고 있는 이름이 모두 15개 있는데 이를 따로 모아본다. 모르는 이들이 꽤 많다. 역시나 체계이론 쪽에선 Dirk Baecker가 대표선수로 뛰고 있는 양상이다.

37. - 8 Ralf Dahrendorf, Soziologe
63. - 13 Ulrich Beck, Soziologe
146. + 56 Wolf Lepenies, Soziologe
192. - 3 Jean Ziegler, Soziologe
207. + 11 Hans Albert, Philosoph, Soziologe
242. + 34 Christoph Schmidt, Soziologe
280. - 19 Hans Bertram, Soziologe
338. - 7 Peter Gross, Soziologe
374. - 2 Heinz Bude, Soziologe
382. - 2 Barbara Duden, Soziologin
415. NEU Klaus Theweleit, Soziologe
425. NEU Harald Welzer, Soziologe
428. NEU Jutta Allmendinger, Soziologin
437. - 98 Günter Amendt, Soziologe
478. + 10 Dirk Baecker, Soziologe

'철학자'(Philosoph)로는 23명이 검색되는데 아주 유명한 경우를 제외하곤 대개 처음 접하는 이름이다. 독일 '지성계'('지식인 사회')에 대한 내 지식이 얼마나 빈약한지 여지없이 드러나 당황스럽기까지하다. 흠... 이런 얘긴 '교수신문' 독일통신용으로 쓰기에 딱 좋은 기사거리인데...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