핑크 플로이드의 앨범 "the wall"(1979)를 토대로 만든 영화 "the wall"(1982)를 잠깐 봤다. 감독은Alan Parker. 인상적인 장면 중 하나는 어린이들이 일렬로 기계를 통과해선 똑같은 가면을 쓰고 의자에 앉은 모습으로 "가공"되어 "생산"되는 모습.... 개인성의 말살... 이런 접근은 개성, 주체성을 강조하는 입장의 이면이다. the wall의 비판은 결국 "개성"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할 뿐이다. 과연 개인, 주체가 논의의 시작점이자 종점이어야 하는가?
"문화와 역사가 다르고 인성과 품성이 다른데 어떻게 서양이 만들어놓은 인간관에 우리를 짜맞춰 넣으려 하는가. 바로 거기에서 ‘인문학의 위기’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서양은 개인의 주체성과 독창성을 강조한 이성적인 존재를 인간의 전형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아시아에서는 관계의 그물망에 그물코와 같은 아름(개인)들의 역할과 어울림을 강조한 맥락적 존재를 인간의 표본으로 간주했다. 우리의 삶과 역사에 뿌리를 둔 인간에 대한 이론을 창의적으로 개발해낼 때 인문학의 위기에 놓인 이 지구촌도 구할 수 있을 것이다"(이기상 교수의 칼럼, "한국發인문학 이론의 태동을 기대하며" 중"
"서양은 개인의 주체성과 독창성을 강조한 이성적인 존재를 인간의 전형으로 생각했다.
아시아에서는 개인들의 역할과 어울림을 강조한 맥락적 존재를 인간의 표본으로 간주했다."
이런 동서양 구분법은 너무 낡아서 심히 지루하고 감동도 없다. 하지만... 진실에 가까운 것 같다. 결국 서양은 근대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자꾸 맥락과 관계를 강조한다. 아시아에서 대안을 찾는 것 같기도 하고... 하지만 아시아의 많은 문제는 오히려 맥락과 관계를 지나치게 강조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서양의 과거가 우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미래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둘은... 이러다가 수렴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개인에 대한 이런 구분을 조직, 사회적 체계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예를 들어 사회적 체계들의 관계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탈맥락적인 독립적 체계들이란 것이 역사적으로 존재한 적이 없다는 주장에 손을 들어주고 있다. 개인들에 대해서도 그렇고... 반면에 동양, 대표적으로 아시아에 대해서도 비슷한 주장이 있다. 개인, 주체성에 대한 역사가 있다는 것이다. 개인주의, 공동체주의는 대립되는 것이 아니다. 그렇다면 결국 수렴할 것도 없이... 원래 큰 차이가 없었다고 봐야 할까? 그건 또 아닐 것이다. 결국 지향점, 강조점 차이 아닐까?
서구의 경우 근대화는 매우 독특하게 "개인"을 강조하는 흐름이 강조된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