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가장 중요한 요인은 타인과 약속한 일이었다는 점. 스스로에 대한 약속만으로는 부족하다. 두번째는 약속의 대상과의 관계가 공적이었다는 점. 그 관계가 공적이면 공적일수록 강제하는 힘이 강하다. 세번째는 목표가 분명했다는 점. 어떤 내용으로, 언제까지... 네번째는 보상이 확실했다는 점. 눈에 바로 보이는 경제적 보상은 집중력을 발휘하게 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듯. 물론 보상은 다양한 방식으로 주어질 수 있다. 심지어 스스로 만들 수도 있으니. 예컨대, 오늘 목표한 바를 이루면 나머지 시간엔 영화을 한 편 본다던지...
오랜 시간을 요하는 과제의 경우 집중력을 유지해서 목표를 이루기까지 그 과정이 험난하다. 한 가지 목표를 향해서 수 년간 집중해서 매진할 수 있는 특이한 능력의 소유자들도 없지 않아 있겠지만, 대부분 그러지 못하니 약속, 계획, 목표, 보상 등을 잘라서 배분할 필요가 있다. 일, 주, 월 단위로... 가능하면 목표 달성에 때한 점검을 공식적인 관계 속에서 받을 수 있으면 좋겠다. 그리고 그것을 달성했을 경우에 대한 보상도 관계 속에서 정해두고서... 가능하다면 그것도 공식적으로... 차선은 비공시적 보상. 차차선은 스스로에 대한 보상...
자. 오늘의 목표는? 이번 주의 목표는? 이번 달의 목표는? 각각의 목표에 대한 보상은? 누가 그 목표를 점검하고 보상을 제공할 것인가?
자. 오늘의 목표는? 이번 주의 목표는? 이번 달의 목표는? 각각의 목표에 대한 보상은? 누가 그 목표를 점검하고 보상을 제공할 것인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