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7월 11일 금요일

유시민의 "어떻게 살 것인가"를 띄엄띄엄 읽고있다. 글쎄 썩 매력적인 책은 아니다. 원래 "어떻게 죽을 것인가"를 쓰려고 했는데 출판시장의 반응을 고려해서 제목과 방향을 바꿨다고 한다.  그런 배경이 있기 때문인지 죽음을 직접 다룬 부분도 적지 않다. 감정이 썩 풍부한 편은 아니지만, 매번 울컥하게 하는 이야기가 있는데 바로 '존엄사' 이야기다. 존엄하게 죽기로 결단하는 사람들 이야기.

"지금은 존언함 삶을 추구하는 것과 함께 존엄한 죽음을 준비해야 마땅한 세상이다"(128) "생명은 존엄하다. 그러나 죽음 역시 존엄해야 한다"(130) "원칙적으로 볼 때, 죽기 위해서 국가나 사회의 허락을 받을 이유는 없다. 사는 것도 죽는 것도 본질적으로 나의 자유이며 권리이다. 국가는 나를 죽일 권한이 없으며 살라고 명령할 권한도 없다. 타인에게 부당한 피해를 주지 않는 한, 삶에 대해서든 죽음에 대해서든 국가나 사회가 나의 의사 결정에 간섭해서는 안 된다. 자기 방식대로 살고, 자기 방식대로 죽는 것은 만인에게 주어진 자연법적 권리이다. 실제로도 많은 사람들이 법원의 허락을 구하지 않고 스스로 선택한 방식으로 죽는다."(131)

"감각은 죽고 의식 혼자 사는 것은 삶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철학적 자아는 감각과 정신, 욕망과 이성의 통일이다. 운동이 멈춘 후에 존재하는 의식은 아무 의미가 없다."(130)

정신, 의지가 없는 육신...

분명 윤리(학)적 주제인데... 글쎄 연구 측면에서 파고 들고 싶은 영역, 내가 잘 할 수 있는 부분이 있을지는 의심스럽다. 존엄사. 흠. 많이 연구되지 않은 영역이긴 한데. 죽음 자체가 그렇지만.

자살은 사회적 타살이다... 사회학자들의 접근은 대개 그런 식인데...

죽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