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간 민주정부들이 추구해 온 정책모델은 '한국적인 신자유주의 정책레짐'이라고 할 만하다. 앞서도 지적했듯이 신자유주의적 시장경제체제를 중심으로 하되 구 권위주의의 발전모델로부터 전수된 성장지상주의 이념 및 가치와 국가-재벌연합, 노동배제를 핵심 내용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정책레짐이라고 말할 때 그것은, 정부가 경제운용을 위해 취하는 정책의 기본적 틀 내지는 구조와 내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책을 주도하는 특정의 가치와 이념, 이를 이론화하고 체계화하는 독트린, 이를 수행하기 위한 정책들, 이 정책이 가져오는 정치적, 사회적 결과 등의 요소들을 포괄한다. 그리고 이 정책레짐은 기존의 지배적인 정책에 도전하거나 이를 대체하는 대안으로서 등장하는 초기 시기를 제외하고는 매우 광범한 국민적 컨센서스를 창줄하는데, 그렇기 때문에 대체로 장기적으로 존손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정책레짐의 형성은, 기존 정책노선의 위기에 대응하는 대안의 하나로 특정 정치세력의 도전적 선택에 의해 촉발된 것이었지만, 이것이 정책레짐이 되었다는 것은 사회구성원 내지 투표자들의 광범한 지지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지배적 정책이 되었다는 것이고, 따라서 대부분의 정당들이 이를 수용하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장집,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개정판 후기, 268ff)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