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9월 3일 수요일

아.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속시원하게 대신 해주고 있네. 이강룡 선생... [최근작으로, 번역자를 위한 우리말 공부, 2014] [아래 글은 그의 블로그에서]

"딱딱한 표현이 알맞을 때가 있고 말랑한 표현이 나을 때가 있다. 학술 논문이라든지 전문 영역에서는 딱딱한 표현이 자주 오간다. 고유 명칭이나 개념어를 번역 없이 표기하거나 직역으로 두는 게 더 나을 때가 많다. “Ding an sich”나 “물 자체”라고 써야 이해하기 좋고, “네 의지의 준칙이 항상 보편적 입법의 원리에 부합하게 행위하라”라고 써야 닫힌 영역 안에서 의사소통하기에 좋다. 그렇지만 열린 교양 영역에서는 말랑한 표현이 더 나을 때도 있다. “파악하기 힘든 사물의 진짜 모습”이라든지 “세상 모든 사람이 네가 하는 짓을 똑같이 한다고 생각해 봐”처럼 말랑하게 표현하면 원래 뜻이 조금 훼손되지만 이해 과정에 쉽게 끌어들일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