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1월 4일 화요일

사회갈등을 기독교, 기독교 신앙의 관계에서 어떻게 볼 것인가를 고민하고 있다.

기독교는 사회 속에 있다. 물론 사회 내로 한정될 수는 없지만. 뭐 양다리를 걸치고 있다고 표현할 수도 있겠다. 어쨌건 사회의 변화와 무관할 수 없고, 사회 변화와 직결되는 사회 갈등의 양상 변화와도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사회 갈등"은 잘 짜여진 "사회 질서"와 대척점에 있다. 질서를 유지하는 것과 갈등을 통해서 질서를 바꾸는 것... 둘 다 의미있다. 낡은 질서, 정의롭지 못한 질서가 지배적이라면 갈등을 일으켜서 그 질서를 타파하는 것이 신앙의 관점에서 필요하다. 불필요하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사회 갈등으로 많은 사람들이 고통받고 있다면 그것을 바로 잡기 위해서 애쓰는 것, 그것 역시 신앙인의 자세일 것이다.

부정의한 사회 구조로 불이익과 고통을 당하지만 그것을 사회 문제, 사회 갈등으로 만들어 낼 여력과 자원을 갖지 못한 사람들을 대신하는 것. 그래서 사회 갈등을 만들어 내는 것 역시 신앙인이 취할 수 있는 태도다.

"정의로운 복지국가" 그것을 지향하는 것은 내가 고백하는 기독교 신앙의 관점과 일치한다. 그것에만 매몰되어 "하나님 없는 지상천국"만 지향하는 일은 경계해야겠지만...

루만이 주장하는 "기능적 분화 사회"는 "정의로운 복지국가"에 상당히 근접한다고 본다. 물론 복지 보다는 정의, 공의, 절차적 합리성, 개인주의, 자율성 이런 쪽에 가깝다. 복지, 국가의 역할, 개입... 이런 방향에 대해서는 좀 덜 친화적이다. 물론 말년에는 이런 부분을 강조하긴 했지만 이론의 전체 디자인을 보면 더 적극적으로 다룰 수 있었을 것 같진 않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