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월 6일 월요일

한겨레 서평, 소외되기-소내되기-소내하기 (김진석, 문학동네)

뒷 '소내'부분은 모르겠지만 적어도 '소외'에 대한 설명은 루만의 Exklusion에 대한 설명을 연상시킨다.

"소외란 개념이 인간의 권리가 이전보다 줄어들거나 박탈되어서 생긴 것이 아니라, 애초에 ‘보편적인 권리’를 상정했던 근대 초기 자연권 사상 및 사회계약설의 출발과 더불어 생겨났다는 점을 짚는다"

루만에게서 근대 개인의 사회로의 통합은 포함이 아닌 배제로서 비로서 가능하게 된다 (individuality by incluison에서 individuality by exclusion로). 왜? inclusion은 원천적으로 모두에게 가능하게 되었기 때문에 더 이상 변별력을 갖지 못한다. 어디에 포함되지 않는지, 즉 배제되는지 (소외되는지?)를 통해서 비로소 인간과 사회의 관계가 드러나는 것이다.

"근대에 들어 인간의 보편적인 권리는 인간 존재의 조건으로서 인간의 인식 속에 당연하게 자리잡은 듯했다. 그러나 현실 속에 엄연히 존재하고 있는 폭력은 그 보편적 권리가 언제든 박탈당할 수 있다는 불안을 동시에 가져다줬다.
(...) 이 책은 인간의 보편적인 권리를 상정한 근대 초기에서부터 자유주의의 발전과 그 후기에 이르기까지, 근대적 주체가 마주해온 자유와 폭력의 모순을 ‘소외’라는 개념으로 모호하게 뭉뚱그려버린 지적 게으름에 대한 비판서라 할 수 있다.
먼저 지은이는 소외란 개념이 인간의 권리가 이전보다 줄어들거나 박탈되어서 생긴 것이 아니라, 애초에 ‘보편적인 권리’를 상정했던 근대 초기 자연권 사상 및 사회계약설의 출발과 더불어 생겨났다는 점을 짚는다. 인간은 스스로에게 보편적인 권리를 부여하면서 동시에 그 권리를 현실적으로 담보해줄 수 있는 ‘사회적 몸’, 곧 주권을 지닌 정부를 함께 탄생시켰다. 인간의 보편적 권리는 이상 또는 가상의 수준으로 구축된 반면, 현실 속에서는 사회 구성원들의 보편적 권리를 중재할 ‘다수의 의지’에 강제로 예속될 수밖에 없는 모순이 벌어진 것이다. 지은이는 이 간극 속에서 실제로는 존재한 적도 없는 ‘소외’란 환상이 대두됐고, 모든 것을 소외 때문이라고 뭉뚱그리는 ‘극소외’ 현상이 벌어졌다고 짚는다.
자연권 사상 및 사회계약론의 출발이 ‘소외의 가설’을 불렀다면, 그 뒤에 이어진 경제적·정치적 자유주의의 전개는 ‘소내’의 문제를 제기하게 만든다. 지은이는 여기서 프랑스 철학자 미셸 푸코의 권력관계와 관련한 이론들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인다.
자유주의는 합리성에 근거해 근대적 주체들을 통치하는 체제로 발전했는데, 이러한 자유주의적 통치 질서는 “위험과 동시에 안전을 생산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곧 내부와 외부가 명확히 구분되고 초월적인 외부로부터 위험이 찾아오던 과거와 달리, 자유주의적 통치질서에서는 내부와 외부의 경계 자체가 모호해진다는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