少年易老學難成

2014년 3월 5일 수요일

[아놀드 하우저는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에서 독일의 관념주의 철학자들이 독일의 정치적 후진성에 따른 좌절감, 그리고 루소나 볼테르와 같은 당대 프랑스 계몽주의자들이 누렸던 사회적 영향력을 지닐 수 없었기 때문에 대중이 이해할 수 없는 사변으로 빠지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독일철학은 이미 칸트에서부터 당시의 교양 있는 일반대중으로부터 소외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현상은 문외한으로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고 또 난해성이 곧 사고의 깊이를 나타내는 것처럼 생각하는 전문용어 때문에 더욱 심화되었다… 이와 동시에 독일인들은 서유럽에서 높이 평가받는 단순, 냉철하며 확실한 진리에 대한 감각을 상실하게 되었으며 사변적 구성과 복합성에 대한 그들의 애호는 하나의 정열로까지 발전하였다.”]

흠.그런가? 어디 독일 철학만 그럴까. 프랑스 철학은 더 심하지 않은가? 그건 어떻게 설명할 수 있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최근 게시물 이전 게시물 홈

이 블로그 검색

Profile

내 사진
licht
일기장처럼 사용하는 곳입니다. 뭐. 그렇다는 얘깁니다.
전체 프로필 보기

guestbook

archives

  • ►  2015 (82)
    • ►  2월 (38)
    • ►  1월 (44)
  • ▼  2014 (674)
    • ►  12월 (33)
    • ►  11월 (56)
    • ►  10월 (40)
    • ►  9월 (58)
    • ►  8월 (32)
    • ►  7월 (46)
    • ►  6월 (47)
    • ►  5월 (76)
    • ►  4월 (70)
    • ▼  3월 (68)
      • 페북에서 발견한... 이에 따르면 "창조경제"는 번지수를 잘못 찾은 공허한 소리 되시겠다....
      • 모처럼 런닝머신에서 지난 번에 평균 시속 11.5km였고 오늘은 조금 더 올려서 12km로...
      • 아래는 페친 차정식 님의 글. 루만 얘기와 연결되는 지점이 있어서 가져다 놓음. -----...
      • "Religion is a solution for the endemic identity c...
      • 한국 사회에서 문화가 중요해지고 있다? 이 질문은 물론 - 문화에 대한 논의가 항상 그렇듯...
      • 좀 찔리는 얘기다. 임근준_이정우 AKA ChungX2 ‏@st_disegno  17시...
      • 모름지기 글을 하고 싶은 이야기를 표현하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 수단의 하나다. 전달하...
      • 언어에 대한 전문적 논의는 잘 모르지만 대략 고종석 선생 견해를 들으면 수긍하는 편이다. ...
      • 이사를 간 집에서 인터넷을 제대로 이용할 수 없었다. 이전에 살던 집과는 다르게 공짜 와이...
      • 내일 이사다. 포장이사라서 할 일은 별로 없다. 더 크고 쾌적한 환경으로 이사가는 거지만 ...
      • 1. 며칠 동안 나를 괴롭히던 관계의 문제가 어느 정도 정리되었다. 부디 앞으로도 더 지혜...
      • 국가의 영향력이 확 줄어들 일은 않겠지만, 그렇다고 많은 변화를 기대할 수도 없을 것 같다...
      • 단지 생물학적 나이가 많다는 이유만으로 권위를 인정받는 시대는 지나갔다. 연장자에게 권위가...
      • 독일의 국가문화에 대한 논문을 보고 있는데 뭔가 답답하다. 그 논문에서도 등장하는 역사 제...
      • 정치인 안철수의 실체는 이제 너도 알고 나도 알고 동네 꼬마도 알 정도로 온천하에 드러났다...
      • 페친 박치현님의 글인데 그냥 가져왔다. 두고두고 생각할 거리가 될 것 같아서... "'당...
      • 세계사회의 관점에서 볼 때 국가, 국가 경계는 이중적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
      • Ende gut, alles gut이다. 이것은 진리다. 잔소리듣기 싫으면 Ende를 gu...
      • 어떤 행동이 바람직한지를 판단하는 내 기준... 내 스스로는 일관성이 다고 생각하겠지만, ...
      • 국가 문화? (national culture), Nationalkultur, Kultur ...
      • 일요일이다. 주일이라고도 하는... 이런 저런 일들로 심사가 편치 못하다. 남 운전하는 것...
      • global culture 가 강한가? national culture가 강한가? globa...
      • 루만토론방 가입신청이 끊이질 않는다. 오늘 178번째 회원인가? 모든 이론, 특히 추상성이...
      • 어제 어떤 페친이 - 이놈의 페북 끊을 수가 없네 ㅠㅠ - 카우프만의 책 한 권을 소개했다...
      • 서구엔 있지만 한국에는 없는 것. 그것을 그저"개인주의"라고 표현할 수 있을까? 한국, 그...
      • 한국 전통 생명윤리를 논할 때 자주 등장하는 이야기가 엄마 뱃 속에 있던 시기를 고려해서 ...
      • 낭만적 과학관을 가진 - '과학교' 신자들인 - 과학자들과 그 지지자들의 사고를 직접 체험...
      • 오늘 아침 또 이 과학근본주의자, 과학교 광신자의 글을 읽고야 말았다. 치유불가능한 중증이...
      • 날짜를 쓸 일이 있을 때 2014란 숫자가 아직 어색하다. 오늘은 2004로 잘못 입력했는...
      • 페이스북은 정말이지 재미있는 곳이다. 다만 듣기 싫은 소리는 대개 차단을 하기 마련이라 비...
      • 야구를 보면서 짜증날 때가 있는데, 그 '짜증'이 감정의 순간 방출로 그치면 - 시간이 좀...
      • 느낀 바 인상에 가깝다. 근거가 없다는 얘기다. 프로야구 감독에 대해서 내가 무슨 특별한 ...
      • Einheitssemantik을 unifying semantics/ semantics of...
      • "미국에서 박사받고 한국에 와서 가장 기뻤을 때가 양복입고 첫 출근했을 때다. 사회 밖에서...
      • national/ global, East/ West, Korean/ foreign, und...
      • 어제 오늘 탈핵문제, 대안 에너지 등에 대한 글을 접할 기회가 있었다. 생태주의, 녹색운동...
      • 지난 화요일에 이어 어제 목요일에도 10km를 뛰었다. 처음 4km는 함께 매우 느리게 뛰...
      • 내가 프레임, 프레이밍 개념과 관련 연구에 불편을 느꼈던 이유를 알 것 같다. 프레이밍은 ...
      • 핵심으로 들어가야 하는데, 내 논의의 틀을 세워야 하는데, 그러지 못해, 아니 그렇게하기 ...
      • "Luhmann argues: because individuals are part of t...
      • 요즘은 1주일에 한 번 꼴로 뛰는 것 같다. 오늘은 '동호회' 회원들과 함께 뛰는 날이라 ...
      • 과감하게 승부를 걸지 못하고 도망가는 투구를 보이는 투수를 보는 일은 답답하지만 그래도 이...
      • "자신의 비열함을 인식하는 것이 문학의 진정한 길일 것이다." : 황현산   이는 물론 ...
      • 발전국가, 복지국가, 신자유주의국가는 개념적으로 구분될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 공존할 수 있...
      • 야구의 계절이 돌아왔다. 큰 관심을 주진 못하겠지만 그래도 틈날 때 챙겨보지 않을 수 없다...
      • 라틴아메리카 역사를 체계이론으로 설명하려는 책을 읽고 있다. 공식적으로는 기능적 분화적 제...
      • 1. 역시나 이번에도 '내 슬픈 예감'이 맞아 떨어지고 있다. K팝스타는 이번에도 시간이 ...
      • 흥미로운 이야기. "맹자로 인하여 인류에게 전쟁의 질서(패도覇道)를 종식시킬 수 있는 문화...
      • 요즘 "기본소득" 이야기를 자주 듣게된다. 아래는 이계삼의 한겨례 칼럼 중 일부. 흠. 나...
      • 어떤 사안에 대해서 다양한 견해가 있을 때, 그리고 그 견해들이 모두 나름 일리가 있을 때...
      • 가르치면서 배운다. 비워야 또 채운다. 이것 없이 꾸역꾸역 집어넣기만해선 안되는데 내가 ...
      • 백년 전 한국 풍경을 보여주는 사진을 봤는데 무척 흥미로웠다(35 fascinating p...
      • “누구도 ‘인생’에 대해 가르쳐줄 수 없다. 오직 우리는 삶을 살아낼 수 있을 뿐이다. 삶...
      • 페북 그룹 의료연구윤리회에 올려진 글이다. 좀 길지만 옮겨둔다. 윤리문제에 관한 규제정책을...
      • 미야지마 교수의 소농사회론-유교 근대성은 그나마 역사적 접근이라 수용하기 쉬웠던 것 같다....
      • 매우 인상 깊은 글. "Towards a Confucian Modernity"  (Tu W...
      • "신은 창조를 마친 뒤 일곱째 날을 신성한 날로 선포했다. 그러니까 신성한 것은 목적 지향...
      • "스테판 다나카에 따르면 '동양'개념 자체가 청말기 동아시아에서 '중(中)'국의 중심성을 ...
      • "평화가 모든 것은 아니다, 하지만 평화가 없다면 모든 것이 아무 것도 아니다." (빌리 ...
      • 고종석 선생. 정말이지 존경하지 않을 수 없네. ㅎㅎ "우리가 우정이라고 생각하는 건 대...
      • [아놀드 하우저는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에서 독일의 관념주의 철학자들이 독일의 정치적 후...
      • 오늘 우연히 이런 문장을 만났는데, 기분이 개운치않다. 개인적으로 알지 못하는 그 글쓴이가...
      • “한국이 줄기세포 강국이었던 적은 한 번도 없다. 그런데도 2004년 황우석이 사이언스 논...
      • (function(d, s, id) { var js, fjs = d.getElement...
      • "나는 기도가 하나님을 변화시킨다기보다는 나를 변화시킨다고 믿는다. 하나님의 마음을 움직이...
      • 영화 '그래비티'가 아카데미상 7개 부분에서 수상했다고 한다. 안타깝다. 이 영화를 보고 ...
      • 자. 도착지는 나와있다. 어디에서 출발해서, 어디를 거쳐서 그 목적지에 이르렀는지.... ...
      • 페친 김태용 님이 소개한 김성근 감독이 한 이야기 “재능이나 지식이 없어도 내가 가진 걸...
    • ►  2월 (84)
    • ►  1월 (64)
  • ►  2013 (471)
    • ►  12월 (59)
    • ►  11월 (34)
    • ►  10월 (36)
    • ►  9월 (42)
    • ►  8월 (59)
    • ►  7월 (86)
    • ►  6월 (49)
    • ►  5월 (28)
    • ►  4월 (20)
    • ►  3월 (24)
    • ►  2월 (15)
    • ►  1월 (19)
  • ►  2012 (274)
    • ►  12월 (14)
    • ►  11월 (14)
    • ►  10월 (11)
    • ►  9월 (37)
    • ►  8월 (31)
    • ►  7월 (18)
    • ►  6월 (26)
    • ►  5월 (20)
    • ►  4월 (39)
    • ►  3월 (23)
    • ►  2월 (27)
    • ►  1월 (14)
  • ►  2011 (167)
    • ►  12월 (11)
    • ►  11월 (8)
    • ►  10월 (6)
    • ►  9월 (22)
    • ►  8월 (31)
    • ►  7월 (27)
    • ►  6월 (23)
    • ►  5월 (10)
    • ►  4월 (8)
    • ►  3월 (10)
    • ►  2월 (4)
    • ►  1월 (7)
  • ►  2010 (93)
    • ►  12월 (18)
    • ►  11월 (12)
    • ►  10월 (14)
    • ►  9월 (11)
    • ►  8월 (8)
    • ►  7월 (4)
    • ►  6월 (7)
    • ►  5월 (4)
    • ►  4월 (3)
    • ►  3월 (2)
    • ►  2월 (6)
    • ►  1월 (4)
  • ►  2009 (179)
    • ►  12월 (5)
    • ►  11월 (19)
    • ►  10월 (23)
    • ►  9월 (24)
    • ►  8월 (9)
    • ►  7월 (15)
    • ►  6월 (12)
    • ►  5월 (12)
    • ►  4월 (10)
    • ►  3월 (13)
    • ►  2월 (14)
    • ►  1월 (23)
  • ►  2008 (215)
    • ►  12월 (15)
    • ►  11월 (14)
    • ►  10월 (21)
    • ►  9월 (20)
    • ►  8월 (18)
    • ►  7월 (20)
    • ►  6월 (18)
    • ►  5월 (34)
    • ►  4월 (12)
    • ►  3월 (14)
    • ►  2월 (29)

labels

  • 건축 (2)
  • 과기정책 (10)
  • 그림 (14)
  • 다양성 (1)
  • 斷想 (114)
  • 달리기 (10)
  • 말과 글 (10)
  • 매스미디어 (10)
  • 문학 (8)
  • 문화 (5)
  • 민족주의 (8)
  • 사진 (15)
  • 사회학 (75)
  • 생명윤리 (15)
  • 시사 (76)
  • 信仰 (29)
  • 언론 (1)
  • 언어 (16)
  • 역사 (19)
  • 영화 (26)
  • 윤리 (4)
  • 음악 (33)
  • 의료윤리 (1)
  • 일기 (21)
  • 잡담 (1)
  • 雜說 (34)
  • 정체성 (3)
  • 철학 (4)
  • 체계이론 (57)
  • 황우석 (6)
  • STS (11)
테마 이미지 제공: sndr. Powered by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