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2월 14일 토요일

"불트만 '예수'(1926년)... 이 책에서 그는 복음서가 전하는 예수 전승을 실존주의적 시각에서 해설할 것을 주장... 자연과학자가 자연을 관찰할 때는 객관적 사실을 발견할 수 있지만, 역사를 관찰할 때에는 관찰자 또한 역사의 한 부분이라는 사실을 수긍하지 않으면 안 된다... 성서에서 예수를 탐구할 때에는 우리 자신도 이미 신앙고백적(실존적)으로 참여학 있는 역사의 예수를 만날 수 있을 뿐이다." (김명수, 51쪽)

불트만 --> 역사적 예수와 케리그마의 그리스도 사이의 불연속성 Unkontinuität

(불트만 제자, 후기 불트만학파) 케제만 E. Käsemann 은  .. 연속성 여부를 밝히려 함. 역사적 예수 탐구를 포기한다면, 신학은 가현론Deoketismus에 빠질 위험... 케리그마는 역사의 예수에 근거하고 있다. 초기 교회 공동체는 신화적 인물이나 신적 존재를 주kyrios와 일치시킨 것이 아니라, 하나의 역사적 실존 인물, 곧 나사렉 출신의 청년 예수를 주와 동일시 하였다...

푹스 E.Fuchs는... 바울의 서신들이 복음서보다 20여 년 먼저 쓰여진 것에 착안, 바울의 저작 분석으로 역사적 예수에 도달하려고 함. 인종, 성별, 사회적 신분과 계급을 초월하여 인간은 누구든지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써만 sola fide' 하나님과 올바를 관계를 회복할 수 있다는 바울의 칭의사상이 지니는 '민중적 성향'에 주목.... 엄격한 율법의 행위와 자비행에 근거하여 구원을 얻을 수 있다고 가르친 유대교, 심오하 우주적 진리를 깨닫고 그것과 하나됨을 추구함으로써 구원과 해방을 얻을 수 있다고 가르친 헬라세계의 스토아 철학이 당시 엘리트 지식인 계층에게 호소력을 지니고 있었음... 오직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pistis 하나만으로 족하다는 바울의 칭의사상은 하루하루 살아가기에 바쁜 헬라세계의 일반 서민대중에게 큰 호소력이 있었음에 틀림 없다. 푹스는 바울의 칭의사상이 ... 소외계층의 삶의 동반자로 살았던 역사적 예수의 가르침 및 해애와 일치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