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성에 대한 인식 부족이 한국 사회가 갖는 문제의 핵심인 것 같다. 개인주의, 자유주의, 사회복지, 나눔, 형제애, 인권, 불평등 등 한국 사회의 문제를 드러내는 다양한 지점들이 있지만 그것들을 관통하는 개념이 바로 공공성이다. 예를 들어 공적인 차원을 고려하지 않는 개인주의는 이기주의일 따름이다. 공공성의 핵심은 원칙에 대한 신뢰와 집행이다. 공공성은 '공정함' '정의' '법치'와 잘 어울린다. 억압하기 위한 법치가 아니라...
어느 사회에서나 개인주의, 집단주의, 이기주의, 법치주의 등이 공존한다. 상황에 따라 다른, 그때 그때 필요한 가치들을 앞세운다. 다양한 가치가 있다는 점, 상황에 따라 다른 가치를 동원하는 점 등에서 원칙적으로 다르진 않다. 서양이 '우리'보다 좀 더 나은 점은.. 그래도... 공공성을 담보한 '개인주의'가 작동한다는 점 아닐까?
체계의 자율성 보장과 개인의 자율성 보장 간에는 매우 밀접한 관계, 친화성이 있는 것 아닐까? 이 둘을 연결시키면... 그... 그림... 그림이... 나...온...다....
체계통합과 사회통합은 다른 차원이지만 이렇게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던 것이다.
체계통합, 자율성을 전제로 한 상호연계를 강화시키려면 ... '체계'가 아닌 '개인'에 대해서 가르쳐야 할지도...
어느 사회에서나 개인주의, 집단주의, 이기주의, 법치주의 등이 공존한다. 상황에 따라 다른, 그때 그때 필요한 가치들을 앞세운다. 다양한 가치가 있다는 점, 상황에 따라 다른 가치를 동원하는 점 등에서 원칙적으로 다르진 않다. 서양이 '우리'보다 좀 더 나은 점은.. 그래도... 공공성을 담보한 '개인주의'가 작동한다는 점 아닐까?
체계의 자율성 보장과 개인의 자율성 보장 간에는 매우 밀접한 관계, 친화성이 있는 것 아닐까? 이 둘을 연결시키면... 그... 그림... 그림이... 나...온...다....
체계통합과 사회통합은 다른 차원이지만 이렇게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던 것이다.
체계통합, 자율성을 전제로 한 상호연계를 강화시키려면 ... '체계'가 아닌 '개인'에 대해서 가르쳐야 할지도...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