少年易老學難成

2013년 12월 16일 월요일

페친을 통해서 소개 받은 주옥같은 이야기... "책은 도끼다"... 도대체 박웅현, 이원흥. 이 양반들 누구인가.

""친구가 될 수 없다면 스승이 될 수 없고, 스승이 될 수 없다면 친구도 될 수 없다" 

“새로운 것을 창조해낸다기보다는 기존의 것을 떠올려내는 것이죠. 그러기 위해선 필요한 것들을 기억해 두어야지요. 그리고 기억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감동받는 거예요. 감동받은 것들은 어딘가에 저장되어 있다가 필요할 때 나오기 마련이거든요. 그래서 감동을 잘 받는 사람들이 일을 잘하지요."

"좋은 것이 없는 것이 아니라, 좋은 것을 보는 눈이 없다” 

"취업해서 서른 살까지만 사실 분이면 스펙만 쌓으세요. 그럼 문제없어요. 하지만 문제는 서른 살 이후에요. 그 이후에는 스펙가지고 안 돼요. 대기업에 취업해도 답이 안 나와요. 본질적인 자신만의 무엇인가를 가지고 있어야 해요. 그 본질적인 무엇을 찾기 위해서 우선 셰익스피어나 구운몽부터 읽으세요. 그럼 나중에 힘이 생겨나요."

"책에 나왔던 장소를 발견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내가 사는 곳을 책에 나왔던 장소처럼 보는 것이 필요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최근 게시물 이전 게시물 홈

이 블로그 검색

Profile

내 사진
licht
일기장처럼 사용하는 곳입니다. 뭐. 그렇다는 얘깁니다.
전체 프로필 보기

guestbook

archives

  • ►  2015 (82)
    • ►  2월 (38)
    • ►  1월 (44)
  • ►  2014 (674)
    • ►  12월 (33)
    • ►  11월 (56)
    • ►  10월 (40)
    • ►  9월 (58)
    • ►  8월 (32)
    • ►  7월 (46)
    • ►  6월 (47)
    • ►  5월 (76)
    • ►  4월 (70)
    • ►  3월 (68)
    • ►  2월 (84)
    • ►  1월 (64)
  • ▼  2013 (471)
    • ▼  12월 (59)
      • 감기가 오래 간다. 한 10일 정도 됐나 보다. 어제도 머리가 아파서 일찍 잤다. 저녁 7...
      • 뭐지 이 미묘한 기분은. 안도감과 긴장의 공존... - 생각이 좀 더 정리되어서 그런가? ...
      • 언젠가 내 이상/기대와 현실 사이의 괴리에 대해서 쓴 적이 있는데 그 도식으로 많은 것이 ...
      • 모처럼 수영을 했다. 감기는 나아가는데 머리가 계속 아파서... 뭐 1,2주 사이에 마무리...
      • '말'은 힘이 참 큰 것 같다. 갈수록 소극적인 태도를 선호하게 된다. '잘해야 본전'인 ...
      • 트친이 리트위한 글. 작성자는 - 아마도 - @masterkeaton "법치주의(法治主義...
      • 겨우 몸살기에서 좀 벗어난 듯하다. 머리가 좀 아프지만 이 정도로도 감사하다. 늦어진 진도...
      • 사실 위태위태했다. 거의 두 달여 운동을 전혀 하지 않았고, 평균 새벽 한 시 두 시에 자...
      • 매사에 좀 까칠하고, 타인 험담을 곧잘하는 사람들은 조심해야 한다. 아무리 그가 평소엔 유...
      • 딸 그림책, 동화책이 늘고 있다. 그런데 국내에서 출간된 것이더라도 4분의 3은 번역된 것...
      • 김명수 "역사와 동양사상"을 읽으면서 짜증을 유발하는 구절을 예를 들면 이런 거다. "...
      • 길을 나서려는데 갑자기 눈이 내리기 시작했다. 좀 걷다보니 이 눈보라의 정체가 ...
      • 존경? 누구를 존경하는가? 이런 질문들을 어릴 때 받았던 것 같다. 심지어 써 내야 했었...
      • 어제 우연히 장애인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두 번 접했다. 오마이 뉴스의 기사. "고백하건...
      • 해야 할 일은 태산인데 몸이 조금씩 저항하기 시작한다. 심하진 않지만 그래도 힘을 내기 힘...
      • 역사적으로 큰 의미가 있는 사건들 예를 들어 87년 항쟁으로 인한 민주화 등은 민심이 숙성...
      • '야근'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 만델라의 명언을 다시 한 번 '묵상'한다. It alw...
      • 페친이 한국에서 상대적으로 덜 소개됐다면서 스페판 콜의 다음 논문을 소개했다. 구성주의적 ...
      • 페친을 통해서 소개 받은 주옥같은 이야기... "책은 도끼다"... 도대체 박웅현, 이원흥...
      • 역시 조동일 선생
      • "홍상수 감독은 교수들을 욕하는 데 탁월한 재능을 지니고 있다. 교수들 또는 교수 지망생들...
      • 그게 진보건, 민주당이건, 2mb나 박씨 무리이건 간에... 말끝마다 국민, 국민의 뜻, ...
      • 요즘 discrepancy, decoupling, dislcoation, disassoci...
      • It always feels impossible until it is done! 흑...
      • 북한의 권력서열 2인자 장성택 사형 소식에 묘한 기분이 든다. 이미 2인자가 아니었다는 '...
      • "불트만 '예수'(1926년)... 이 책에서 그는 복음서가 전하는 예수 전승을 실존주의적...
      • "내가 인정받지 못한다는 느낌은 상처가 된다. 상처를 받으면 우리는 다시 상대가 그 느낌을...
      • "예수의 역사와 동양사상" (김명수, 2012, 통나무)
      • 눈이 시원하게 왔다. 온도가 그리 낮지 않아서 쌓이진 않았지만... 이 눈을 ...
      • 경향신문 정희진 칼럼이다. "KKK단과 회식문화" 시원시원하지만 좀 찔리기도 한다. 회식,...
      • 내가 좋아하는 프로그램으로 '라디오스타' '해피투게더' '무한도전' 'K팝스타'를 꼽았는데...
      • "요즘 나는, 어려운 것은 어렵게, 쉬운 것은 쉽게 전달하는 것이 좋은 글이자 선생이라는 ...
      • "막장 자체가 드라마의 캐릭터가 되면, 아예 '개 막장' 수준으로 떨어져도 시청자는 무감각...
      • 사회구조와 의미론의 관계에는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일치하지 않는 것은 위기이기도 하...
      • 노무현 대통령을 모델로 삼은 영화 '변호인'이 개봉하기도 전에 극심한 논란 속에 있다. 영...
      • 1. 독일 어느 집 지하실에 맡겨 둔 내 책 상자들. 그 집 배수관이 터지는 바람에 상당...
      • 문화의 다양성, 차이, 아시아 문화, 한국 문화의 특징.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아시아나 한...
      • Peter Fuchs나 Hans Georg Moeller 등 체계이론가 중에서 일본, 중국...
      • 아시아 생명윤리에 대해서 이야기 하면서 문화적 차이를 논하는 경우들이 많다. 동서양 문화...
      • 1. 본방을 놓친 "K팝스타 3"를 나중에 보다. 지난 회에 비해선 덜 재미있었다. 지난 ...
      • bittere Wahrheit
      • Ende gut, alles gut!
      • 공공신학, 공공성, 개인주의, 가족주의, 집단주의...
      • 모름지기 논지가 분명해야 한다. 논쟁적으로 나가야 한다. 첫줄부터 이 주제에 대해서 남들은...
      • 꼰대질에 대하여
      • 기능적 분화와 개인화는 함께 간다. 개인의 자율성, 개인주의는 기능적 분화의 조건, 혹은 ...
      • ”Andererseits darf auch die Triebkraft der individ...
      • 서양에서 발전한 생명과학 윤리는 생명과학 연구가 '개인' '인간' '생명' '생태계' 등에...
      • 프리츠 펄스 ‘게슈탈트 기도문’
      • "Only those questions that are in principle undeci...
      • 한국 정치의 지나친 도덕화, 혹은 '도덕주의'가 문제라는 얘길 듣는다. 그건 '개인'의 도...
      • 김동춘 교수의 Bunker 1 강의를 들으며 느낀 바가 많다. 민주주의라는 근대 정치의 특...
      • 차마 Gesellschaft라고 부르기 뭣한... Gemeinschaft 한국
      • 주말의 이런 저런 행사들 이후 어제까지 거의 공부에 진처이 없었다. 화요일 11시. 지금까...
      • 생각거리들이 얽혀있다. (1) 아침 사무실 나오는 길에 들었던 벙커1 김동춘 교수 인터뷰...
      • 내가 좋아하는 티비 프로그램을 꼽아보면... 매주 방영되는 프로그램 중에선 '라디오스타' ...
      • 제 논에 물대기... 목적론적 세계관을 가진 이들에게서 자주 관찰되는 성향이다.목적이 분명...
      • 경제학자에게 가장 심한 욕은 '사회학자'라고 부르는 것
      • 좀 석연찮다. 식구들과 며칠 '집중적'으로 지내면서 갖게 된 이런저런 인상, 생각들 때문에...
    • ►  11월 (34)
    • ►  10월 (36)
    • ►  9월 (42)
    • ►  8월 (59)
    • ►  7월 (86)
    • ►  6월 (49)
    • ►  5월 (28)
    • ►  4월 (20)
    • ►  3월 (24)
    • ►  2월 (15)
    • ►  1월 (19)
  • ►  2012 (274)
    • ►  12월 (14)
    • ►  11월 (14)
    • ►  10월 (11)
    • ►  9월 (37)
    • ►  8월 (31)
    • ►  7월 (18)
    • ►  6월 (26)
    • ►  5월 (20)
    • ►  4월 (39)
    • ►  3월 (23)
    • ►  2월 (27)
    • ►  1월 (14)
  • ►  2011 (167)
    • ►  12월 (11)
    • ►  11월 (8)
    • ►  10월 (6)
    • ►  9월 (22)
    • ►  8월 (31)
    • ►  7월 (27)
    • ►  6월 (23)
    • ►  5월 (10)
    • ►  4월 (8)
    • ►  3월 (10)
    • ►  2월 (4)
    • ►  1월 (7)
  • ►  2010 (93)
    • ►  12월 (18)
    • ►  11월 (12)
    • ►  10월 (14)
    • ►  9월 (11)
    • ►  8월 (8)
    • ►  7월 (4)
    • ►  6월 (7)
    • ►  5월 (4)
    • ►  4월 (3)
    • ►  3월 (2)
    • ►  2월 (6)
    • ►  1월 (4)
  • ►  2009 (179)
    • ►  12월 (5)
    • ►  11월 (19)
    • ►  10월 (23)
    • ►  9월 (24)
    • ►  8월 (9)
    • ►  7월 (15)
    • ►  6월 (12)
    • ►  5월 (12)
    • ►  4월 (10)
    • ►  3월 (13)
    • ►  2월 (14)
    • ►  1월 (23)
  • ►  2008 (215)
    • ►  12월 (15)
    • ►  11월 (14)
    • ►  10월 (21)
    • ►  9월 (20)
    • ►  8월 (18)
    • ►  7월 (20)
    • ►  6월 (18)
    • ►  5월 (34)
    • ►  4월 (12)
    • ►  3월 (14)
    • ►  2월 (29)

labels

  • 건축 (2)
  • 과기정책 (10)
  • 그림 (14)
  • 다양성 (1)
  • 斷想 (114)
  • 달리기 (10)
  • 말과 글 (10)
  • 매스미디어 (10)
  • 문학 (8)
  • 문화 (5)
  • 민족주의 (8)
  • 사진 (15)
  • 사회학 (75)
  • 생명윤리 (15)
  • 시사 (76)
  • 信仰 (29)
  • 언론 (1)
  • 언어 (16)
  • 역사 (19)
  • 영화 (26)
  • 윤리 (4)
  • 음악 (33)
  • 의료윤리 (1)
  • 일기 (21)
  • 잡담 (1)
  • 雜說 (34)
  • 정체성 (3)
  • 철학 (4)
  • 체계이론 (57)
  • 황우석 (6)
  • STS (11)
테마 이미지 제공: sndr. Powered by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