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사회학의 경우.... 예컨대 과학 정책, 과학 거버넌스에 대한 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 물론 그것이 이론 사회학, 사회이론 혹은 사회진단과 연결되면 좋겠지만 그건 쉬운 일은 아니고...
과학, 기술을 중심으로... 시대를 진단한다? 지식사회?
한국의 현실은 지식사회론으로 설명될 수 있을까? 박근혜 정부, 세월호...
위험사회? 기능적 분화된 사회?
(정몽준 아들이 표현한대로) "미개"한 사회인데... 뭐 이렇게 고급스러운 개념이 필요할까 싶다.
아니면 "미개"한 상태가 왜 미개한지를 설명할 필요가 있을까? 미개하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과학, 기술을 중심으로... 한국 사회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상식적인 일들이 잘 지켜지지 않는 사회에서?
서양에서 "기능적 분화" 이후가 시대진단의 화두로 등장하고 있다면 - 탈분화, 재분화.... 과잉통합... 특히 최근에는 경제에 의한 과잉통합. 예컨대, 과학과 기술의 관계에 대해서 "기술과학"technoscience같은 표현이 설득력있게 등장한다던지...
하지만 한국에서는 기능적 분화라는 외양, 형식은 가지고 있지만 내용적으로는 탈분화가 지배적이었다. 오랫동안... 정치에 의한 과잉통합. 최근에는 경제에 의한... 과학, 기술의 관계에 대해서는.... 서양에서 최근에 최신 경향으로 논의되는 technoscience, 경제에 의한 과잉통합 경향이 오랫 동안 지배적이었다. 오히려 과학과 기술의 분화, 혹은 기능 체계들간의 분화 경향도 관찰되는 것이다.
"생명윤리" "과학 거버넌스"각종 제도들은 사실 체계 간 관계를 조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이다. 체계통합의 메커니즘. 탈분화 경향에 가까운 것이다. Weingart의 Die Stunde der Wahrheit 역시 그런 논지고. Boundary organization... boundary work... trading zone...
물론 그런 경향이 한국에도 있다. 하지만 원래 탈분화 경향이 강했던 터라 새삼스럽진 않다. 하지만 서양과는 달리 오히려 과학과 다른 체계들과의 분화 관계를 보여주는 방향으로 발전되고 있다. 체계의 경계를 분명하게 하는...
과학, 기술을 중심으로... 한국 사회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상식적인 일들이 잘 지켜지지 않는 사회에서?
서양에서 "기능적 분화" 이후가 시대진단의 화두로 등장하고 있다면 - 탈분화, 재분화.... 과잉통합... 특히 최근에는 경제에 의한 과잉통합. 예컨대, 과학과 기술의 관계에 대해서 "기술과학"technoscience같은 표현이 설득력있게 등장한다던지...
하지만 한국에서는 기능적 분화라는 외양, 형식은 가지고 있지만 내용적으로는 탈분화가 지배적이었다. 오랫동안... 정치에 의한 과잉통합. 최근에는 경제에 의한... 과학, 기술의 관계에 대해서는.... 서양에서 최근에 최신 경향으로 논의되는 technoscience, 경제에 의한 과잉통합 경향이 오랫 동안 지배적이었다. 오히려 과학과 기술의 분화, 혹은 기능 체계들간의 분화 경향도 관찰되는 것이다.
"생명윤리" "과학 거버넌스"각종 제도들은 사실 체계 간 관계를 조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이다. 체계통합의 메커니즘. 탈분화 경향에 가까운 것이다. Weingart의 Die Stunde der Wahrheit 역시 그런 논지고. Boundary organization... boundary work... trading zone...
물론 그런 경향이 한국에도 있다. 하지만 원래 탈분화 경향이 강했던 터라 새삼스럽진 않다. 하지만 서양과는 달리 오히려 과학과 다른 체계들과의 분화 관계를 보여주는 방향으로 발전되고 있다. 체계의 경계를 분명하게 하는...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