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2월 7일 금요일

근대 적응 근대 극복의 이중과제, 근대화와 탈근대화의 이중과제

전근대, 근대, 탈근대의 공존

비동시성의 동시성, Gleichzeitigkeit des Ungleichzeitigen [‘simultaneity of the nonsimultaneous’ ] (E.  Bloch)

근대 적응과 근대 극복의 이중과제

근대 적응을 근대화로, 근대 극복을 탈근대화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한국 근대화를 더 이상 낙관적으로 볼 수 없다.
그 구조적 한계를 설명하는 이론적 도구로 체계이론을 사용할 수 있다.


[관련 문헌]

백영서 (2008), 동아시아론과 근대적응 근대극복의 이중과제, 창비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