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리 decoupling: 정치 조직, 정책과 실행/집행의 분리
- 조직이 만들어낸 결과(output)이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 상태.
- 말과 행동 action/ talk
- 정책과 실행 policy/ practice
- 외부에 보여주기 위해서 조직 개혁 (조직의 외형)/ 실제로는 변한 것 없음 (조직 활동)
- 변한 것 (변한 척 하는 것, 변한 것처럼 보이는 것)/ 실제로는 변하지 않음.
- 혹은 하겠다고 약속 함 (무엇인가를 하겠다)/ 실제로는 하지 않음.
- loose-coupling은 느슨하게나마 연결되어 있다는...
- counter-coupling은 ... 어떤 결과가 다른 결과에 영향을 미치되 (역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
위선 hypocrisy
- 지킬 의도가 전혀 없으면서 지키겠다고 약속하는 것
- 겉으로는 착한 척 하지만 속마음은 그렇지 않은...
- 속마음과 다른 행동을 하는 것
"분리"는 조직/행위자를 중심으로 한 이러저러한 과정을 거쳐서 나온 결과, 그 상태에 대한 것이다.
"위선"은 좀 더 행위자에 초점을 맞춘 개념이다. 행위자의 의도는 아니더라도...
논점은
- 언제 어떤 상황에서 분리가 더 잘 일어나는가.
- 분리는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가?
- 어느 정도 분리여야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가?
- 분리는 반드시 나쁜 것인가?
정책 집행에 있어서 항상 일관되어야 하는가?
아시아: decoupling: from felxibility toward uncertainty
정책 뿐 아니라, 사회의 구조 자체를 민주주의, 혹은 자본주의 (자유!), 법원, 언론의 자유 등을 외저으로는, 정책적으로, 제도적으로는 인정해 놓고서, 실제로는 그것을 지키지 않았다. 왜? 발전을 위해서, 희생...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