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꾸댁 사마의 장애에 대한 얘기를 듣고 전에 일본에 있을 때 생각했던 게 다시 떠올랐어요.
작년 메이데이 때, 집회에 갔었죠.3일간 집회였는데, 5월 2일에는 노숙자나 빈민의 주거문제 등에 대한 심포가 있었고 비정규직 노동운동에 대한 소개 등이 있었어요.
그날 오신 분들 가운데에는 '이상하게도'^^; 장애자가 많았어요. 일어나서 소개하고 발언하는 가운데서도 장애자가 "폐를 끼치는 자"로서 비난받고 설움 받는 애기를 많이들 하셨지요.
그런데 그 얘기를 들으며 생각했어요. 세상에 대체 남에게 폐를 끼치지 않고 살아가는 자가 누가 있을까? 나는 그날 전철을 타고 갔으니 전철의 기관사나 차장들에게 페를 끼쳤고 그날 점심은 편의점에서 삼각김밥을 사 먹었으니, 그걸 만들고 날라다 주신 분들께 폐를 끼쳤고...
어디 이게 저 뿐이겠어요?*^^* 이 글을 보는 분들도, 완전히 지 혼자 산다고 생각하는 부잣집 도련님덜도, 항상 누군가에게, 혹은 어떤 존재자에게 페를 끼치며 살고 있지요.
남에게 폐를 끼치며 사는 자를 장애인이라고 한다면 저도, 그들도 모두가 다 장애인이죠. 존재하는 모든 것은 항상 무엇엔가에게 폐를 끼치며 살고 있으니 "모든 존재자는 장애자다"라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요?
이는 단언컨대 진지한^^; 존재론적 명제입니다. 그럼에도 왜 특정인들은 자신이 장애인임을, 폐를 끼치는 자임을 잊고 있을까? 언제 우리는 장애임임을 잊게 되는가?
그건 자신이 폐를 끼칠 때, 그 대신 돈을 내는 순간일 겁니다. 돈을 냈으니 폐를 끼친 게 아니라 대가를 지불했다고, 교환을 했다고 착각하는 거죠.
반면 돈을 낼 수 없는 사람은, 자신이 항상 폐를 끼치는 자임을 확인하게 되지요. 그러나 돈이 많은 장애인이 장애인이 아니라고 할 수 없듯이 돈을 내는 사람들이 폐를 끼치지 않고 산다고 말할 순 없겠지요. 반대로 그것을 통해 자신의 실제 모습, 존재론적 실상을 보지 못하는 거지요. 돈은 실상을 보지 못하게 우리의 눈을 가리는 도구인 게지요.
눈을 떠야 합니다. 눈을 가린 돈을 툭 던져 버릴 수 있어야 합니다. 장애란 사실 모든 존재자가 다른 존재자들과 함께 기대어 살고 있다는 존재론적 공동성의 표현입니다.
자신이 장애자임을 자각하는 것, 그것은 그 존재론적 공동성을 알고 그것을 긍정하는 것이며 그 속에서 다른 장애자들과 함께, 그들이 폐를 끼칠 수 있도록 떠받쳐주며 살아가는 것이라고 해야 할지도 모릅니다.
존재론적 공동성에 기꺼워지는 것, 그게 공동체나 코뮨의 실천이라면 코뮨주의는 존재론적 장애학의 다른 이름이라고 해도 좋지 않을까요?
작년 메이데이 때, 집회에 갔었죠.3일간 집회였는데, 5월 2일에는 노숙자나 빈민의 주거문제 등에 대한 심포가 있었고 비정규직 노동운동에 대한 소개 등이 있었어요.
그날 오신 분들 가운데에는 '이상하게도'^^; 장애자가 많았어요. 일어나서 소개하고 발언하는 가운데서도 장애자가 "폐를 끼치는 자"로서 비난받고 설움 받는 애기를 많이들 하셨지요.
그런데 그 얘기를 들으며 생각했어요. 세상에 대체 남에게 폐를 끼치지 않고 살아가는 자가 누가 있을까? 나는 그날 전철을 타고 갔으니 전철의 기관사나 차장들에게 페를 끼쳤고 그날 점심은 편의점에서 삼각김밥을 사 먹었으니, 그걸 만들고 날라다 주신 분들께 폐를 끼쳤고...
어디 이게 저 뿐이겠어요?*^^* 이 글을 보는 분들도, 완전히 지 혼자 산다고 생각하는 부잣집 도련님덜도, 항상 누군가에게, 혹은 어떤 존재자에게 페를 끼치며 살고 있지요.
남에게 폐를 끼치며 사는 자를 장애인이라고 한다면 저도, 그들도 모두가 다 장애인이죠. 존재하는 모든 것은 항상 무엇엔가에게 폐를 끼치며 살고 있으니 "모든 존재자는 장애자다"라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요?
이는 단언컨대 진지한^^; 존재론적 명제입니다. 그럼에도 왜 특정인들은 자신이 장애인임을, 폐를 끼치는 자임을 잊고 있을까? 언제 우리는 장애임임을 잊게 되는가?
그건 자신이 폐를 끼칠 때, 그 대신 돈을 내는 순간일 겁니다. 돈을 냈으니 폐를 끼친 게 아니라 대가를 지불했다고, 교환을 했다고 착각하는 거죠.
반면 돈을 낼 수 없는 사람은, 자신이 항상 폐를 끼치는 자임을 확인하게 되지요. 그러나 돈이 많은 장애인이 장애인이 아니라고 할 수 없듯이 돈을 내는 사람들이 폐를 끼치지 않고 산다고 말할 순 없겠지요. 반대로 그것을 통해 자신의 실제 모습, 존재론적 실상을 보지 못하는 거지요. 돈은 실상을 보지 못하게 우리의 눈을 가리는 도구인 게지요.
눈을 떠야 합니다. 눈을 가린 돈을 툭 던져 버릴 수 있어야 합니다. 장애란 사실 모든 존재자가 다른 존재자들과 함께 기대어 살고 있다는 존재론적 공동성의 표현입니다.
자신이 장애자임을 자각하는 것, 그것은 그 존재론적 공동성을 알고 그것을 긍정하는 것이며 그 속에서 다른 장애자들과 함께, 그들이 폐를 끼칠 수 있도록 떠받쳐주며 살아가는 것이라고 해야 할지도 모릅니다.
존재론적 공동성에 기꺼워지는 것, 그게 공동체나 코뮨의 실천이라면 코뮨주의는 존재론적 장애학의 다른 이름이라고 해도 좋지 않을까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