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2월 28일 금요일

어제 저녁 창조성을 다룬 티비 프로그램에서 재즈 연주 이야기가 나왔다.  즉흥 재즈 연주를 하는 사람들의 뇌의 변화를 관찰했더니...

" 전두엽피질에서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 영역은 의식적인 자기검열과 관련된 부분이다. 즉, 자신이 무엇을 하고 무엇을 말하는지를 관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재즈 뮤지션의 전두엽피질은 그 기능을 멈추기 시작했다. 뭔가 실수할까봐 집중하는 것과 반대로, 위험을 감수하기 위해 자기검열 기능을 끄는 것이다."

라이브 연주를 자주 접하진 못했고 재즈 음악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으면서도, 매력을 느끼는 편이었는데... 매력을 갖게 하는 '비밀'을 알게 된 느낌이다. 반면에 내가 어떤 종류의 음악을 싫어하는 이유도 일부 설명할 수 있게 된...

재즈는 정형화되지 않고 자유롭고, 열린 음악이다. 무형식은 아니고... (음악이 되려면 그럴 수는 없지) 최소한의 형식을 갖추고 그 안에서 자유로운... 상당한 훈련을 거쳐서 내공을 쌓지 않으면 그 자유를 누리면서 들을만한 음악을 만들어내지 못한다. 음악의 틀이 단단하면 상대적으로 쉽게 음악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다시 요약하자면 최소한의 틀, 그 틀 속에서 자유로움, 그 자유로움을 누리고 또 누릴 수 있게 해주는 실력과 내공... 이런 것들을 갖춘 음악을 좋아하는 것이다. 재즈가 가장 자유로운 쪽이라면, 클래식 라이브 공연도 상당히 그런 편이다. 아니 일다는 음반보다는 라이브 공연이 더 그렇다. 가요나 팝 쪽에서도 애드립 구사능력이 필요한 알앤비 쪽도 좋아하는 편이다. 물론 발라드에서도 자유로움을 느끼게 하는 가수들이 있다. 성시경의 어떤 노래들은 상당히 좋다.

음악만 그렇진 않은 것 같다. 학문이건 일상적 대화건... 재즈같은 학문, 재즈같은 사람을 좋아하는 것 같다. 그렇다고 내가 특별히 재즈스럽다고 생각하진 않지만... 뭐. 좋아하면 닮는다고 하지 않던가. 재즈를 좀 더 찾아 듣다보면 그렇게 되지 않을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