少年易老學難成

2014년 2월 22일 토요일

이런 얘기를 나도 할 수 있다. 하지만 김어준 얘기라야 먹힌다. 왜? 그 양반은 나름대로 성공했거든.

사람들은 계획들을 참 많이 해요. 계획만큼 웃긴 것도 없습니다. 그렇게 될 리가 없어요. 만약에 신이 존재한다면, 전 무신론자지만, 가장 사람에 대해서 비웃을 게 그 부분입니다. ‘계획을 세웠어 이것들이.’ 그렇게 될 리가 없죠. 행복한대로, 닥치는 대로 사세요. 욕망의 주인이 되십시오. 어쨌든 행복하게 하고 싶은 대로 하고 사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최근 게시물 이전 게시물 홈

이 블로그 검색

Profile

내 사진
licht
일기장처럼 사용하는 곳입니다. 뭐. 그렇다는 얘깁니다.
전체 프로필 보기

guestbook

archives

  • ►  2015 (82)
    • ►  2월 (38)
    • ►  1월 (44)
  • ▼  2014 (674)
    • ►  12월 (33)
    • ►  11월 (56)
    • ►  10월 (40)
    • ►  9월 (58)
    • ►  8월 (32)
    • ►  7월 (46)
    • ►  6월 (47)
    • ►  5월 (76)
    • ►  4월 (70)
    • ►  3월 (68)
    • ▼  2월 (84)
      • 어제 저녁 창조성을 다룬 티비 프로그램에서 재즈 연주 이야기가 나왔다.  즉흥 재즈 연주를...
      • 서양인의 관점에서 규범적으로 결론을 내리자니 도무지 성에 차지 않는다. 한국 규제 정책이...
      • "새누리 '통일대박론에 이어 경제대박 청사진 제시'" 대통령이란 작자 입에서 '통일대박'...
      • 페친 박동서 님의 글. 그렇지 남한 거주민들의 행태에 합리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건 단견이...
      • UCLA 한국학 교수 Duncan의 글로 유교근대성에 대한 고민을 마무리하도록 하자. ...
      • 미야지마, 김상준... 등등. 유교근대(성) 접근은 한반도와 동아시아 역사의 흐름을 이해하...
      • '아무도 부유해지려 하지 않으면 모두 부유해질 것이고, 모두가 가난해지려 하면 아무도 가난...
      • 김상준 "맹자의 땀, 성왕의 피"(2011)는 한국사회학 역사에서 보기 드문 참신한 시도임...
      • 요즘 내가 챙겨보는 거의 유일한 프로그램 K팝스타3. "짜리몽땅" 노래를 유투브에서 찾아 ...
      • "Sociology can only describe society in society … ...
      • 신우회에서 "장애신학"을 읽고있다. 장애인 관련 기관에 근무하는 기독교인들이지만 '장애'에...
      • 글은 재미가 있어야 한다. 쓰는 사람이 재미를 느끼며 써야 하고, 적어도 그 주제에 관심을...
      • 흠. 이런 표현들 좋다. "네그리와 하트가 시장이 사적인 것을, 국가가 공적인 것을 독점...
      • 요즘 이 블로그에 글을 올리지마자 조회수 1~3이 기록된다 ('물론' 그 이후로 크게 늘진...
      • 이상한 꿈을 꾸었다. 비행기를 조종하다 불시착하는... 조사받기...다른 비행기의 동료들....
      • 매우 도발적인 주장이다. 미야지마 히로시 (1999), 동아시아 小農社會ᄋ...
      • 페친 강창래 님의 고전에 대한 견해. 거의 전적으로 동의한다. 다만 고전을 역사적인 텍스트...
      • 개인주의적 지향, 위계적 질서... 이 둘은 상극인 것 같다. 개인주의는 "천상천하유아독존...
      • 며칠 전 읽었던 페친 황두진 님 이야기. 지금 미국 여행 중인데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나보...
      • 기아 타이거즈를 포함한 한국 야구에 대한 관심이 급격하게 줄어들었다. 원인이 뭘까. 양치기...
      • 쓰고 싶은 이야기가 있었는데 생각이 나질 않는다. 이럴 때 답답하다. 딱 이 얘긴 아니었...
      • 대학 시절, 그러니까 한국 대학 시절엔 에리히 프롬은 거들떠 볼 생가도 하지 않았다. 사랑...
      • 페북에서 업어 온 이야기. 최고가 되려고 하지 마라. 너만의 독특함을 가져라. 최고는 항...
      • 발전주의에 대한 이런 저런 생각... "탈발전주의"는 성립하기 어려운 것 같다. 구조적으로...
      • 이런 얘기를 나도 할 수 있다. 하지만 김어준 얘기라야 먹힌다. 왜? 그 양반은 나름대로 ...
      • 페친 김준우님 담벼락에서 "저자(야고보의 경외서 - 옮긴이)는 실제로 인간 예수를 직접 ...
      • 한국은 아직 후지다. 발전주의가 여전히 지배적이다.그래 그런 점에서 distinctive한...
      • Wong 선생이 "규제 불확실성"을 이야기하는 통에 어제 "규제"에 대한 책을 도서관에서 ...
      • 창비 팟캐스트에서 시인 신경림 선생 인터뷰를 들었다. 여든이시라고. 그리고 11번째 시집을...
      • "홍성수 2009, 규제학 - 개념, 역사, 전망"을 '재미있게' 읽었다. 이보다 더 효율...
      • 김연아 선수가 피겨스케이팅에서 올림픽 2연패를 이루지 못했다.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그 소식...
      • 뭐. 대략 맞는 듯... 60 Signs You Studied Sociology In...
      • 요즘 페친 글을 자주 인용하거나 옮겨 놓는데, 공식적으로는 페북을 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
      • 페친 이진경 선생의 글을 옮겨 놓는다. 장애인의 존재론을 위하여 2010년 8월 ...
      • 실학파가 당대의 유교주의를 극복하려는 시도였지만 결국 스스로 유학의 영역 안에서 사고한다고...
      • "The strong sustainability paradigm, thus allows f...
      • 생명윤리와 경제성장/ 발전과의 관계는? 한편으로 생명과학은 경제성장의 도구로 이해된다. ...
      • "근대 적응과 근대 극복의 이중과제" 참으로 적절한 표현이다. 성장의 한계를 지적하는 ...
      • 최근 타계한 Dahl의 민주주의 애찬을 전해 듣고서 생각난 이야기들... 한 동안 - 어...
      • 이석기와 그 무리들은... 그 과대망상에 판단착오에... 비록 분노를 유발하기는 하고, 옆...
      • 정직은 항상 미덕인가? 단호하게 이야기할 수 있다. 노우! 네버! 때로 정직은 다른 무엇보...
      • 발전주의/개발주의는 여전히 지배적인 문화이고 이데올로기다. 최근의 발전주의는 신발전주의라고...
      • 페친 진경환 선생(한국전통문화대학교)의 글. 고대, 중세, 근대로 흔히 역사를 구분하는데 ...
      • K팝스타3. 아니나 다를까 시간이 지날수록 놀라움이 덜하다.  어제는 샘김과 한희준이 그나...
      • 식구들 간에 이런 저런 갈등이 있다. 중간에 껴서... 쉽지 않다. 어쩌면 그렇게 하나같이...
      • 이런 저런 이야기를 마음 놓고 나눌 수 있는 사람들이 주위에 많지 않다. 안타깝게도... ...
      • 내게 좀 우유부단한 면이 있음을 또 한 번 확인. 내가 잘 모르는 분야, 깊에 고민하지 않...
      • 멀쩡한 어른들이 앉아서 소시적 이야기 나누는 것 싫어한다. 한심해 보인다. 자주 보는 사이...
      • 한동안 강신주 때리기가 유행이었고, 나도 심정적으로는 동의했다. 처음 몇 번 접할 때는 신...
      • 경쟁이나 게임에 참여하면 사람의 다른 면을 보게 된다. 나도 모르던 나를 포함해서...
      • 페북에서 들은 이야기. 근대의 발명으로서 연애라는 이야기는 프롬도 했구나. 에리히 프롬은...
      • 윤석민이 볼티모어 오리올스(Baltimore Orioles)에 입단하나보다. 애증이라고 하...
      • 한국 근대 형사재판제도사 (도면회)
      • 페친 Ung-Jin Kim 님의 글. 2년 전쯤 자살 문제로 발표할 일이 있었는데, 이어...
      • 이 아침. 한 대 맞은 느낌. 페친 김진형님의 얘기. "김혜리 기자가 이동진 평론가에...
      • "탈발전"이건 "탈성장"이건... 그 "탈" "이탈" "공백"을 무엇으로 메꿀 것인가? 그...
      • 예수 믿기, 예수 살기의 통합에 대해서... 본회퍼의 기도문이 가르쳐주는 바가 많다. ...
      • 발전, 개발, 성장 development, growth
      • 대한민국 아직 멀었다. 한화 김승연 회장에게 집행유예가 선고된 모양이다. 역시 큰 범죄는 ...
      • 앎과 삶의 분리 같은 건, 전형적인 근대적 관념 아닌가? 그런데 내게 앎과 삶은 분리되어...
      • 예수 믿기, 예수 살기. 신앙과 삶의 분리 극복. 왜, 어떤 조건에서 분리하는 경향을 보...
      • 어머니:  "아이고. 도대체 언제 끝난데..."    나    :  "......"
      • 한국 교회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예수 믿되 예수살기 거부하는 병". 이 병엔 나도 걸린...
      • 배구선수 김연경의 FA가 논란되는 배경, 구체적 내용을 잘 알진 못하지만, 언론 보도를 통...
      • 사회구조: '전근대성' - "근대성" - [탈근대성] 문화: '전근대성' - "근대성 -...
      • 정책과 실천 간의 분리 decoupling은 - 고맙게도 - 여전하다. 그네씨가 극명하게 ...
      • 신간 코너에 헨리 데이빗 쏘로의 "Where I lived, and What I lived...
      • 찜질방에 대한 NYT 기사가 회자된다.  정말이지 한국이 맨얼굴을 볼 수 있는 곳이다. 확...
      • 흠. 법에 의한 통치가 제대로 자리잡지 않은 사회에서, 도덕, 윤리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화...
      • 어떤 경로로 페친이 되었는지 모르겠는데... 페친 박주하 님의 글이 인상적이어서 퍼나른다....
      • 근대 적응 근대 극복의 이중과제, 근대화와 탈근대화의 이중과제
      • 도서관 새책 코너에 한국 아파트 문화를 다루는 책이 꽂혀 있다. 아주 흥미로운 주제다. 모...
      • 분리 decoupling: 정치 조직, 정책과 실행/집행의 분리 - 조직이 만들어낸 결...
      • 아파트가 오래되어서 복도식이다. 우리집에 한 쪽 끝인데 반대 쪽 끝에 집에 사는 바깥 어른...
      • 고부(姑婦)가 함께 살다보니까 갈등이 없을 수는 없겠지만... 대부분 아주 사소한 일들로 ...
      • 1) 언제나 그랬듯이 생각보다 오래 걸렸다. 35만원 받는 글. 해외 장애인 정책. A4로...
      • 그 양반 큰일났다. 중증이다. 과대망상... 그 행태가 사뭇 천박하다. 빈 깡통이 요란한 ...
      • 무척 추운 겨울 밤. 서울역. (2014.2.5.)
      • 모처럼 밤 늦게까지 밖에서 시간을 보내다 귀가중. 오늘 만난 사람들 때문에 찜찜함이 남아있...
      • 아래 포스팅과 연관지어서 볼 때... 한국에 부정행위가 심하고, 원칙을 잘 지키지 않고...
      • 한국 정부, 각종 단체, 국민들의 위선적 행태, 혹은 대놓고 저지르는 부정, 불법 행위는 ...
      • (1) 조카들에게 새배를 받고 덕담이라고 하긴 했는데... 찜찜함이 남는다. 사실 이야기의...
      • 일단 믿고 보는 감독. 코엔 형제. 최신작 "인사이드  르윈"을 보다. 동진 형님이 일말의...
      • 1) 루만에 대한 논쟁이 페북에서 이뤄지고 있는데 참으로 당혹스럽다. 이게 루만인가? 2...
    • ►  1월 (64)
  • ►  2013 (471)
    • ►  12월 (59)
    • ►  11월 (34)
    • ►  10월 (36)
    • ►  9월 (42)
    • ►  8월 (59)
    • ►  7월 (86)
    • ►  6월 (49)
    • ►  5월 (28)
    • ►  4월 (20)
    • ►  3월 (24)
    • ►  2월 (15)
    • ►  1월 (19)
  • ►  2012 (274)
    • ►  12월 (14)
    • ►  11월 (14)
    • ►  10월 (11)
    • ►  9월 (37)
    • ►  8월 (31)
    • ►  7월 (18)
    • ►  6월 (26)
    • ►  5월 (20)
    • ►  4월 (39)
    • ►  3월 (23)
    • ►  2월 (27)
    • ►  1월 (14)
  • ►  2011 (167)
    • ►  12월 (11)
    • ►  11월 (8)
    • ►  10월 (6)
    • ►  9월 (22)
    • ►  8월 (31)
    • ►  7월 (27)
    • ►  6월 (23)
    • ►  5월 (10)
    • ►  4월 (8)
    • ►  3월 (10)
    • ►  2월 (4)
    • ►  1월 (7)
  • ►  2010 (93)
    • ►  12월 (18)
    • ►  11월 (12)
    • ►  10월 (14)
    • ►  9월 (11)
    • ►  8월 (8)
    • ►  7월 (4)
    • ►  6월 (7)
    • ►  5월 (4)
    • ►  4월 (3)
    • ►  3월 (2)
    • ►  2월 (6)
    • ►  1월 (4)
  • ►  2009 (179)
    • ►  12월 (5)
    • ►  11월 (19)
    • ►  10월 (23)
    • ►  9월 (24)
    • ►  8월 (9)
    • ►  7월 (15)
    • ►  6월 (12)
    • ►  5월 (12)
    • ►  4월 (10)
    • ►  3월 (13)
    • ►  2월 (14)
    • ►  1월 (23)
  • ►  2008 (215)
    • ►  12월 (15)
    • ►  11월 (14)
    • ►  10월 (21)
    • ►  9월 (20)
    • ►  8월 (18)
    • ►  7월 (20)
    • ►  6월 (18)
    • ►  5월 (34)
    • ►  4월 (12)
    • ►  3월 (14)
    • ►  2월 (29)

labels

  • 건축 (2)
  • 과기정책 (10)
  • 그림 (14)
  • 다양성 (1)
  • 斷想 (114)
  • 달리기 (10)
  • 말과 글 (10)
  • 매스미디어 (10)
  • 문학 (8)
  • 문화 (5)
  • 민족주의 (8)
  • 사진 (15)
  • 사회학 (75)
  • 생명윤리 (15)
  • 시사 (76)
  • 信仰 (29)
  • 언론 (1)
  • 언어 (16)
  • 역사 (19)
  • 영화 (26)
  • 윤리 (4)
  • 음악 (33)
  • 의료윤리 (1)
  • 일기 (21)
  • 잡담 (1)
  • 雜說 (34)
  • 정체성 (3)
  • 철학 (4)
  • 체계이론 (57)
  • 황우석 (6)
  • STS (11)
테마 이미지 제공: sndr. Powered by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