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2월 3일 월요일

한국 정부, 각종 단체, 국민들의 위선적 행태, 혹은 대놓고 저지르는 부정, 불법 행위는 국내 문제로 그치지 않을 수 있다. 국제적 혹은 세계적 차원의 공적, 사적 거버넌스에 도전이 될 수 있는 것이다.  페북에서 발견한 견해... 미국 고등학교에서 한국 같았으면 쉽게 저릴렀을 부정행위를 잘 보기 힘들다는 증언에 이어서... (부모 동의[사인]만 있으면 가능한 결석계, 어떤 과목의 1교시 시험을 3교시에도 치는 경우 그 사이 문제, 답을 가르쳐 줄 수 있는 상황. 이 두 경우 부정을 저리는 경우는 드물다. 왜? 부정행위니까. Cheating..  

서로가 서로를 인정하지 못하고, 도덕과 규칙에 대한 존중이 자리잡지 못할 경우 엄청난 사회적 비용을 우리는 감수해야만 합니다. 결석통보서의 위조 가능성을 막기 위해 부모에게 확인 전화를 일일히 해야 하고, 인감증명서까지 제출토록 하여 진위를 확인해야 한다면 그만큼 사회적 비용이 지출되어야만 합니다. 마찬가지로, 시험문제의 유출 가능성을 막기 위해 시험 볼 때마다 다른 유형의 문제지를 사용해야만 한다면 이것 역시 그만큼의 사회적 비용이 지출될 수밖에 없습니다. 

몇십년 동안 별 탈 없이 운영되어온 SAT와 TOEFL의 문제은행 제도가 한국 학생으로 인해 딜레마에 빠진 것도 이러한 잘못된 문화와 무관하지 않습니다. 결국, 문제은행의 데이타량이 아무리 많더라도 10년이면 모든 문제유형들이 노출되게 됩니다.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 매년 교수들과 선생님들을 모처에 가둬놓고 문제를 출제토록 하는 것은 한국만의 독특한 풍경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