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7월 3일 수요일

안정-안전-확실(성)

안전과 안정은 상대적으로 쉽게 구분된다.


"‘안전’이 사고나 위험 등과 관련 있다는... ‘안전’은 말 그대로 ‘편안하고(安) 온전한(全) 것’이다. 그러니 ‘사고’나 ‘위험’과는 거리가멀다. ‘안전’은 ‘위험이 생기거나 사고가 날 염려가 없음. 또는 그런 상태’를 뜻한다. (...)  ‘안정’은 ‘일정함’, ‘꾸준함’과 관계가 있다. ‘안정’은 ‘편안하고(安) 정해진(定) 것’이다. 따라서 ‘변화’와 거리를 둔 말이다. ‘바뀌어 달라지지 않고 일정한상태를 유지함’을 뜻한다. ... ‘안정’에는 ‘시간’의 경과가 필요하다.현재의 상태를 말하지만, 과거 어느 시점부터 지켜본결과를 감안해야 한다.  ... 상태가 본래 그렇다고 할 만큼 오래된 것이라면 안정돼 있다고 말한다."

안전(safety, Sicherheit)는 예기치 않은 외부로부터의 자극이 "안정 상태"를 해치지 못하도록... 안전을 해치는 상황이 있어야 비로소 안전이라는 개념이 생긴다.  안정은 바람직한 상태가 깨질 때....

위험에도 안전을 유지해야 안정된 상태라고 일컬을 수 있다.

인간에게 "안전"은 본능적 욕구이자 중요한 권리이기도 하다. 안전을 보장해야 하는 것은 국가의 기본 책문이기도 하다(Sicherheitsstaat).

안정은? 안전도 정의하기 어렵지만, 안정은 정의하기가 훨씬 더 까다롭다. 개인에 대해서 안정은 "정서적 안정" "안정된 생활" 같은 식으로 쓰인다. 사회에 대해선 "안정된 사회" 같은 표현이 쓰이고... 안정은 질서와 연결되어서 떠오른다. "안정된 삶"에는 "안전한 삶"이 포함되는 것 같다. 즉, "안정된 삶"이란 개념이 내포하는 의미 범위가 더 넓은 것이다. "안정된 삶"엔 왠지 경제력, 사회적 지위 등을 적당히 골고루 갖춘 중산층이 연상된다. 안정에는 '질서' 연결되어 떠오른다. 질서가 흐트러지는 것을 사회의 불안 상태라고 표현한다. 변화는 안정을 해친다는 의미에서는 안정의 반대 쪽에 있고, 변화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면 '불안'으로 이해된다. 사회전복세력 같은 표현들... 안정, 질서와 연결되는 변화를 거부하는 보수 기득권층 이미지... 하지만 사회가 발전할수록, 사회가 바람직한 상태를 이뤘다고 평가될수록 안정추구는 보수적인 세력만의 것은 아니다. 좋은 상태, 바람직한 상태를 유지하려는 것이 비난받을 이유는 없는 것이다.
불안정은 사회가 변화할 때 뿐 아니라, 기존 질서가 내적으로 문제가 있을 때에도 관찰된다. 예를 들어 제도와 현실 간의 괴리가 클 때... 이 경우 안정이란... 예컨대 법치, 법에 의한 통치를 요구하는 것은 긍정적인 의미가 있는 것이다.

안정은 그 자체로 반드시 보수적인 것만은 아니다. 사회가 완전한 변화가 필요한데도 변화를 거부하는 기존 질서대로의 안정 추구 세력은 보수적인 것이지만, 사회가 변화를 이루어서 상당히 긍정적 질서를 가져오는데도 그것을 지키지 않는다면 그 경우 안정 파괴는 그 질서를 지키지 않는 세력의 책임인 것이다.

"불안정"은 "불확실"과 매우 잘 연결된다. 불안정성.... 불확실성... 불안정은 또 "유연성"과도 연결된다. 노동유연성 같은 표현은... 사실 부정적인 의미로 자주 사용된다.

불안정성을 영어로 unstableness로도 쓰지만 고급 표현으로 "precarity"가 있나보다.

"Precarity is a condition of existence without predictability or security, affecting material or psychological welfare. Specifically, it is applied to the condition of intermittent or underemployment and the resultant precarious existence. The social class defined by this condition has been termed the precariat."

검색을 해보니 normative instability(규범적 불안정성) 보다는 규범적 불확실성(normative uncertianty)이 더 자주 사용되는 것 같다. 확실성/불확실성은 (certainty/ uncertainty) 안전/불안전(security/ insecurity)과 안정/불안정(stability/ instability) 중간 정도에 위치지을 수 있는 개념 아닐까?

독일어 Sicherheit는 security(안전)과 certainty(확실성) 둘 다 해당한다. 물론 certainty는 Gewissheit로 번역되기는 하지만...

안정(stability, Stabilität)은 너무 강한 개념인 것 같다.

"안정"이란 표현을 검색해보니 정말이지 너무도 "안정지향적인" 냄새가 강하고, "규범적 불안정성"을 얘기하면 바로 "규범적 안정성"을 지향하는 것처럼 들릴 것 같다.

"규범적 불확실성"(normative uncertainty, normative Unsicherheit)로 하기로...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