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7월 22일 월요일

science의 어원은 sceadan로 그 뜻은 "to divide, seperate".
reason(이성(理性)의 어원은 비례를 뜻하는 'ratio'. 
사물을 분리하고 해석하여 규칙성을 발견하는 능력이 바로 이성이다. 
idea(이데아) --> identity
고정불변의 이데아... 자신만의 고유한 속성... 
"동야인들은 일반적으로 감정을 절제하는 데 익숙하기 때문에 서양인에 비해 더 미묘한 방식으로 감정을 표출한다. 동양 - 눈꼬리 ^^, ^-^, ㅜㅜ, ㅠㅠ, ;;, 서양 - 입꼬리... :), :(  
동양에서는 예로부터 웃을 때 입을 손으로 가리는 것이 예의라고 생각해왔다. 입을 통해 상대방에게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 보이는 것을 예의에 어긋난다고까지 생각했던 것이다. 이 경우 눈이 감정을 판단하는 유일한 기준이 된다. 이 때문에 동양에 '눈치'라는 말이 생겨난 것인지도 모른다.
말의 표면적 의미뿐만 아니라 목소리의 톤이나 이야기의 맥락 등의 정보를 통해 의미를 전달하는 것을 '고맥락적 커뮤니케이션 high-context communicaiton이라고 한다.
동양 아이들은 하늘에서 내려다본 듯한 그림... 서양아이들이 자신이 실제로 본 눈높이로... 
서양 아이는'자기 자신이 바라본 관점(1인칭 시점)에서 그림을 그리고, 동양 아이는 자신을 초월한 '상상의 제3자가 바라본 관점(3인칭 관점'에서 그림을 그린다.
individual=in+divide, atom=un+cut
'원자'와 '개인'의 의미맥락은 동일하다.
서양에서는 일찍이 교역 문화가 발달.... 교역 문화에서는 개인의 능력이 중요. 개인의 사유 재산과 계약 관계를 규정한 로만 만민법... 'I'가 항상 대문자로 씌여진다... 동양에서는 쌀 농사를 중심으로 농경 문화가 발달. 쌀은 밀과는 달리 영양가가 높아서 자급자족 가능... 집단이 힘을 합쳐야 하는 일... 개인보다 집단이 중시됨.. .
(EBS다큐멘터리 동과 서)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