少年易老學難成

2014년 5월 20일 화요일

윤태영의 글쓰기 조언

"사람들은 누군가에게 무언가를 전달하기 위해 글을 쓴다.
이야기일 수도 있고 짧은 주장일 수도 있다.
이른바 핵심메시지이다.
독자들에게 핵심메시지를 강렬하게 각인시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길든 짧든 이야기를 짧은 한마디로 압축하라.
그 한마디 문장을 수시로 반복하라.
시작도 그 문장으로 마무리도 그 문장으로 하는 방법도 있다.
일종의 수미상관법(首尾相關法)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최근 게시물 이전 게시물 홈

이 블로그 검색

Profile

내 사진
licht
일기장처럼 사용하는 곳입니다. 뭐. 그렇다는 얘깁니다.
전체 프로필 보기

guestbook

archives

  • ►  2015 (82)
    • ►  2월 (38)
    • ►  1월 (44)
  • ▼  2014 (674)
    • ►  12월 (33)
    • ►  11월 (56)
    • ►  10월 (40)
    • ►  9월 (58)
    • ►  8월 (32)
    • ►  7월 (46)
    • ►  6월 (47)
    • ▼  5월 (76)
      • 읽고싶은 책들이 끊이질 않는다. 게다가 한국에선 책 값도 싼 편이다. 몇 권을 사도 큰 부...
      • Mundfaul... 아닌 Händefaul... 구구절절히 이야기를 늘어 놓기 싫어서 이...
      • 읽기 좋은 글은... (1) 무엇에 대한 이야기인지가 분명해야 한다. 제목만으로 내용을 전...
      • 내가 좀 자세히 살펴 본 정부 통계로 자살통계, 범죄통계가 있는데 문제가 많았다. 경제통계...
      • 밥만 먹고 야구만 하는 사람들이지만... 중계와 언론을 통해서 관찰하는 것만으로 판단할 수...
      • 맥북에어를 수 년째 쓰고 있다. 레티나 디스플레이는 아니지만 만족하면서 잘 쓰고 있다. 외...
      • 직접 돌아다니는 쇼핑을 그다지 즐기는 편이 아니지만 온라인 쇼핑은 좀 다르다. 관련 제품을...
      • "사회주의는 진정한 의미의 개인주의를 거친 사회에서만 건설될 수 있다" (레오 트로츠키 L...
      • "[‘시골의사’ 박경철의 직격인터뷰] 메가스터디 대표 손주은" 중에서.. Q. 너무 앞...
      • "외신번역프로젝트"라는 페친(?)의 글. 공감, 공감... (언급된 글은 New York ...
      • 원순씨는 참 독특한 인물이긴 하다. 전형적인 정치인, 행정가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 안...
      • "마태효과"를 다룬 한겨레 오철우 기자의 글. (출처) "불균등을 주제로 다룬 과학저널 ...
      • 통풍 덕에(ㅠ) 좀 더 세밀한 혈액검사와 내부 기관들 초음파검사까지 받아봤다. 아주 심각하...
      • 모처럼 집에서 붉은 포도주 한 잔을 마시다. 안주는 포도와 딸이 더 이상 먹지않으려 드는 ...
      • 장애인 고용 관련 기업들의 행동을 decoupling으로 설명할 수 있을듯. 공적 제도는 ...
      • (1) 정책(policy)과 실행(practices)의 디커플링(분리 decoupling)...
      • 결국은 문화지체인가? 사회구조와 문화로 구분하고... 사회구조를 바꾸면 문제가 쉽게 해결될...
      • 나는 왜 쓰는가 (G. Orwell, Why I write) 왜 쓰는가? 쓰는 것도 쓰는...
      • 황현산 선생의 이야기. “지식은 ‘안 할 말’이 무엇인가를 아는 데 많이 쓰인다. 정부...
      • ("이철우, 법에 있어서 '근대' 개념 - 얼마나 유용한가" 여기 저기에서... 그리고 덧...
      • <!--[if gte mso 9]> <![endif]--> <!--[if g...
      • 김규항 선생이 페북에 올린 이야기 이적 할 일 없는 사람들은 예수의 이적이 과학적 ...
      • 문화 간 국가간 지역간 비교 연구에서는 대개 구분되는 문화에 동등한 가치를 놓고 비교한다....
      • ‘차이는 모든 사물들의 배후에 있다. 그러나 차이의 배후에는 아무것도 없다’ –질 들뢰즈...
      • 중산층 정의 한국: 경제적 기준으로만 프랑스 영국 미국은 다르다
      • '존경'은 벌써 위계적 질서를 인정하는 표현이다. '존경'이 아니라 '존중'이 필요하다. ...
      • 이진경 목사님의 글은 정말이지 빼어나다. 이렇게 시원하고 정확할 수가.  옮겨두지 않을 수...
      • 모든 일엔 원인이 있을까? 납득할 수 있을까? 그걸 추구하던 근대. 근대의 한계는 명백하다...
      • 윤태영의 글쓰기 조언 "사람들은 누군가에게 무언가를 전달하기 위해 글을 쓴다. 이야기일 ...
      • 생존과 존엄
      • 이진경 목사님의 페북 노트. 공감하는 바가 커서 옮겨둔다. 특히, 이 구절 마음 깊숙이 담...
      • 일주일만에 나온 사무실. 내가 이를 악물고 인터넷을 끊고, 금단현상까지 겪은 후 허겁지겁 ...
      • 인간관계는 어렵다. 다른 사람들 간 관계의 어려움을 보는 것도 힘들다. 그래서 가면을 벗기...
      • 오늘'도' 기아 타이거즈는 졌다. 삼성전 3연전 싹슬이 패. 다행하게도 중간중간 점수 등을...
      • 통풍성관절염 쪽 전문 병원을 검색해서 찾아갔다. 상태가 생각보다 심각했다. 검사를 위해 관...
      • 모처럼 움직일만해서 저녁 시간에 내가 즐겨찾는(^^) 카페에 나왔다. 당연히 인터넷 빵빵....
      • 얼마나 많은 과거가 현재를 규정하는가? 과거와 현재의 관계는 인과적인가? 역사는 누적적으로...
      • 페친 홍성수 님의 이야기: "제가 15년 동안, 그리고 앞으로 십수년은 더 연구할 주...
      • 1. 오늘도 조금전까지 인터넷프리한 시간을 가졌다. 밤엔 생각보다 일찍 인터넷 접속이 가능...
      • 현대 한국의 모습, 특성을 조선조의 역사적 경험으로 연결시켜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이...
      • <!--[if gte mso 9]> <![endif]--> <!--[if g...
      • 듣기 싫은 소리를 듣지 않고 싶은데, 그런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지 못해서 답답하다. ...
      • 1. 그놈의 통풍 때문에 오늘도 꼼짝없이 집에 갇혀 있었다. 이번 달 스마트폰 데이터까지 ...
      • “우승(優勝) 열패(劣敗)의 신화”(박노자, 2005)
      • 좋은 사람을 사귀고 그 관계를 유지하기란 얼마나 힘든 일인지. 억지로 해보려고 해도 잘 되...
      • 지난 주말 엄지발가락 쪽이 극심하게 아파서 병원에 갔더니 통풍성 관절염이란다. 헐. 들어본...
      • [박노자, 한국 교회는 왜 낙태에 반대하지 않나] 중에서 "그런데 많은 신앙인들에게...
      • 독일문화...
      • 오늘 페친이 소개해서 본 동영상... 예전에 본 적이 있긴 하지만... 남매지간으로 보이...
      • - 적어도 두 세계를 구분할 수 있다. 페이스북이 보여주는, 아니 내가 페이스북에 구현해 ...
      • 페친 김태용 님의 "문화"culture 개념에 대한 짧은 요약. 필요한 경우를 위해서 담아...
      • ethical modernization... 황우석 사건 이후 한국 생명윤리 제도의 변화...
      • 국민에서 개인/인간으로... "국민"이라는 정체성! 국가의 구성원이라는 정체성!  발전지...
      • 행복은 순간 순간 만들어가야 하는 것이다. 순간 순간의 행복이 쌓일 때 행복한 삶을 얘기할...
      • 대한민국과 독일 헌법은 제1장과 제2장 순서가 바뀌었다. 그 차이는 한마디로 시작이 "국민...
      • 헌법에 과학기술이 경제발전에 기여하도록 국가가 노력해야한다는 내용이 있는 줄 몰랐다. 과학...
      • 사랑을 받아본 사람이라야 사랑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배려를 받아본 사람이 배려할줄도 알 ...
      • 장춘익 샘의 페북 글. "자유주의는 소극적 국가를 지향한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많은) ...
      • Understanding Medical Research
      • 며칠 전 김용옥 선생이 흡사 조선시대 상소문 혹은 일제시대 우국 지사들의 선언문 같은 투의...
      • 나윤선의 앨범 Lento(2013)을 듣고 있다. 프랑스에서 주로 활동하고 있다고 들었는데...
      • 딸이 6시가 되기도 전에 일어나는통에 덩달아 긴 아침시간을 보냈다. 모처럼 다시 찾은(?)...
      • 어제 좋은 이웃을 사귀게 되었다. 우리 가족과 비슷한 면이 많이 있다. 관계가 잘 유지되었...
      • 어제 잠을 잘 자지 못한 탓인지 – 딸이 밤중에 여러번 깼다 - 아니면 모처럼 11km 정...
      • 노영란 2012 "응용윤리에 대한 덕윤리적 접근의 비판적 고찰" 중에서 "덕윤리가 현대의...
      • 1. 세월호 참사 이후 안전 관리 (산업재해 등 각종 안전사고와 핵발전 위험 등), 관피아...
      • "미국인들"이 911 사건을 어떻게 대처했는지에 대해서 특별한 기억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 요즘 저녁이면 자주 나와서 작업하는 카페. 오늘도 카페모카를 시켰다. 크림까지 얹어서......
      • 나는 이런 이야기가 재미있다. 영어연구소 ‏@Eng_lab 기원후 9세기 무렵까지만 해...
      • "공공성"이 핵심 개념일 수 있겠다. 공론장의 의미가 아니라, "공적 관계, 공적 질서에 ...
      • 내 말이...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이야기 ‏@imaum0217 "RT) 문득. '개인'...
      • "‘유럽세계사’의 성립에 관하여 고야스 노부쿠니(子安宣邦)는 다음과 같이 논한다. ‘유럽...
      • 영화 <아버지의 이메일> 리뷰  중에서 "학창시절, 새 학기가 되면 남자들이 싸우는 주된...
      • 세월호 사건의 원인을 민영화나 신자유주의로 돌리는 경향이 보인다. 그런 측면이 있겠지만 왠...
      • 대한민국의 문제가 한두 가지가 아니지만... 대통령 바뀐다고 국가기구들의 통치 역량이 이...
      • 기대의 인플레이션... 근대사회의 숙명같은 것 아닐까... 도무지 배부를줄 모르는... 배...
    • ►  4월 (70)
    • ►  3월 (68)
    • ►  2월 (84)
    • ►  1월 (64)
  • ►  2013 (471)
    • ►  12월 (59)
    • ►  11월 (34)
    • ►  10월 (36)
    • ►  9월 (42)
    • ►  8월 (59)
    • ►  7월 (86)
    • ►  6월 (49)
    • ►  5월 (28)
    • ►  4월 (20)
    • ►  3월 (24)
    • ►  2월 (15)
    • ►  1월 (19)
  • ►  2012 (274)
    • ►  12월 (14)
    • ►  11월 (14)
    • ►  10월 (11)
    • ►  9월 (37)
    • ►  8월 (31)
    • ►  7월 (18)
    • ►  6월 (26)
    • ►  5월 (20)
    • ►  4월 (39)
    • ►  3월 (23)
    • ►  2월 (27)
    • ►  1월 (14)
  • ►  2011 (167)
    • ►  12월 (11)
    • ►  11월 (8)
    • ►  10월 (6)
    • ►  9월 (22)
    • ►  8월 (31)
    • ►  7월 (27)
    • ►  6월 (23)
    • ►  5월 (10)
    • ►  4월 (8)
    • ►  3월 (10)
    • ►  2월 (4)
    • ►  1월 (7)
  • ►  2010 (93)
    • ►  12월 (18)
    • ►  11월 (12)
    • ►  10월 (14)
    • ►  9월 (11)
    • ►  8월 (8)
    • ►  7월 (4)
    • ►  6월 (7)
    • ►  5월 (4)
    • ►  4월 (3)
    • ►  3월 (2)
    • ►  2월 (6)
    • ►  1월 (4)
  • ►  2009 (179)
    • ►  12월 (5)
    • ►  11월 (19)
    • ►  10월 (23)
    • ►  9월 (24)
    • ►  8월 (9)
    • ►  7월 (15)
    • ►  6월 (12)
    • ►  5월 (12)
    • ►  4월 (10)
    • ►  3월 (13)
    • ►  2월 (14)
    • ►  1월 (23)
  • ►  2008 (215)
    • ►  12월 (15)
    • ►  11월 (14)
    • ►  10월 (21)
    • ►  9월 (20)
    • ►  8월 (18)
    • ►  7월 (20)
    • ►  6월 (18)
    • ►  5월 (34)
    • ►  4월 (12)
    • ►  3월 (14)
    • ►  2월 (29)

labels

  • 건축 (2)
  • 과기정책 (10)
  • 그림 (14)
  • 다양성 (1)
  • 斷想 (114)
  • 달리기 (10)
  • 말과 글 (10)
  • 매스미디어 (10)
  • 문학 (8)
  • 문화 (5)
  • 민족주의 (8)
  • 사진 (15)
  • 사회학 (75)
  • 생명윤리 (15)
  • 시사 (76)
  • 信仰 (29)
  • 언론 (1)
  • 언어 (16)
  • 역사 (19)
  • 영화 (26)
  • 윤리 (4)
  • 음악 (33)
  • 의료윤리 (1)
  • 일기 (21)
  • 잡담 (1)
  • 雜說 (34)
  • 정체성 (3)
  • 철학 (4)
  • 체계이론 (57)
  • 황우석 (6)
  • STS (11)
테마 이미지 제공: sndr. Powered by Blogger.